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라는 부분이 가장 인상 깊었는 데 가장 간단하고 쉽지만 실생활에서 명확하게 사용될 것 같습니다. 무조건적인 정보전달 수업보다 이렇게 용기를 복돋아 주는 수업이 저에게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상시 친한 사람과는 말을 잘 나누지만 낯선 사람과의 대화를 할 때는 말을 잘 못했지만 질문으로 시작을 하자! 라는 내용을 보고 ex) 이름, 취미, 직업 등등 친근하게 다가가 편안하게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말하는 스킬들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특히, 모든 대화에 거의 쓸 수 있는 What-Why-How의 방법을 평상시 말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도 할 수 있게 신경 써서 말을 해야겠다고 느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치의 8가지 생각 챙기기

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