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로 가는 길…내가 가야 하는 – 오정근코치

올해 몹시도 춥다. 55년만의 추위란 소리에 몸이 움츠려 든다. 마음이 가난해지거나 몸이 추울 때 황석영 작가의 ‘삼포 가는 길’이 떠오른다. 때로 ‘삼포로 나는 간다네~’ 하는 노랫말과 가락을 흥얼거리는 것도 소설에 담긴 막연한 정겨움 때문이기도 하다.

‘새벽의 겨울바람이 매섭게 불어왔다. 바람소리가 먼데서부터 몰아쳐서 그가 섰는 창공을 베이면서 지나갔다.’ 작가의 표현대로 날을 세우고 지나가는 칼바람이 어떤 건지 실감이 난다. 매섭기 그지없다.

겉 때 묻은 추레한 두 사내가 제 앞가림도 어렵건만 도망 중인 술집여인 백화에게 기꺼운 마음으로 선행을 베푸는 줄거리다. 경제가 어려운 이 시기에 정처 없이 삼포로 가고자 하는 나그네가 적지 않으리라 본다. 주인공들이 삼포로 가는 길은 몹시도 추운 날이었다.

“어이 육실하게는 춥네. 바람만 안 불면 좀 낫겠는데.” 요즘 같아선 주인공이 느끼는 추위가 어떤 건지 알만하다. 사내들과 우연히 만난 백화 이들 셋은 퇴락한 초가에 들어가 군불을 때어 몸을 녹여야 할 정도로 주머니도 배 거죽도 몸도 모두 한기를 느껴야 했다. 몸도 마음도 녹으며 이야기가 풀렸다.

백화는 군대 죄수를 가두던 부대 옆에서 술집 작부생활을 했다. 그녀는 몸과 마음이 얼어 지내는 군인죄수에게 따듯했다. 그녀는 그들 중 얼굴이 해사하고 어려 뵈는 죄수에게 담배 두 갑을 사서 쥐어 주곤 했다고 말했다.

작부일지언정 제 가슴을 열어 보살핌과 따스함을 전해주었다는 백화의 말에 사내들은 온정을 느꼈다. 군인죄수에게 베푼 것이 자신에게 베풀어준 것이라 여겼는지 모르겠다. 궁핍한 남정네 둘이 술집 주인 몰래 도망가던 백화에게 차표와 빵을 사주며 그녀의 안녕을 빌며 헤어졌다.

나를 대신해 백화를 돌봐준 것 같아 그들에게 고맙기까지 하다. 그래서 아름다운 이야기로 가슴에 잔잔히 남아 있다. 삼포란 명칭은 가상의 지명이라고 작가는 말했다. 내게 ‘삼포 가는 길’은 상상의 길만이 아니다. 삼포로 가는 길은 사람의 도(道)를 얻기 위해 내가 가야 할 길일 것만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출판사 리뷰

■ 출판사 리뷰 저자의 커리어 코칭 강의 이론, 실제 커리어 코칭 경험으로 집대성한, 커리어 코칭 바이블! 코칭이 대세다. 코칭은 티칭, 컨설팅, 멘토링과 다르다. 코치는 참가자와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