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로 가는 길…내가 가야 하는 – 오정근코치

올해 몹시도 춥다. 55년만의 추위란 소리에 몸이 움츠려 든다. 마음이 가난해지거나 몸이 추울 때 황석영 작가의 ‘삼포 가는 길’이 떠오른다. 때로 ‘삼포로 나는 간다네~’ 하는 노랫말과 가락을 흥얼거리는 것도 소설에 담긴 막연한 정겨움 때문이기도 하다.

‘새벽의 겨울바람이 매섭게 불어왔다. 바람소리가 먼데서부터 몰아쳐서 그가 섰는 창공을 베이면서 지나갔다.’ 작가의 표현대로 날을 세우고 지나가는 칼바람이 어떤 건지 실감이 난다. 매섭기 그지없다.

겉 때 묻은 추레한 두 사내가 제 앞가림도 어렵건만 도망 중인 술집여인 백화에게 기꺼운 마음으로 선행을 베푸는 줄거리다. 경제가 어려운 이 시기에 정처 없이 삼포로 가고자 하는 나그네가 적지 않으리라 본다. 주인공들이 삼포로 가는 길은 몹시도 추운 날이었다.

“어이 육실하게는 춥네. 바람만 안 불면 좀 낫겠는데.” 요즘 같아선 주인공이 느끼는 추위가 어떤 건지 알만하다. 사내들과 우연히 만난 백화 이들 셋은 퇴락한 초가에 들어가 군불을 때어 몸을 녹여야 할 정도로 주머니도 배 거죽도 몸도 모두 한기를 느껴야 했다. 몸도 마음도 녹으며 이야기가 풀렸다.

백화는 군대 죄수를 가두던 부대 옆에서 술집 작부생활을 했다. 그녀는 몸과 마음이 얼어 지내는 군인죄수에게 따듯했다. 그녀는 그들 중 얼굴이 해사하고 어려 뵈는 죄수에게 담배 두 갑을 사서 쥐어 주곤 했다고 말했다.

작부일지언정 제 가슴을 열어 보살핌과 따스함을 전해주었다는 백화의 말에 사내들은 온정을 느꼈다. 군인죄수에게 베푼 것이 자신에게 베풀어준 것이라 여겼는지 모르겠다. 궁핍한 남정네 둘이 술집 주인 몰래 도망가던 백화에게 차표와 빵을 사주며 그녀의 안녕을 빌며 헤어졌다.

나를 대신해 백화를 돌봐준 것 같아 그들에게 고맙기까지 하다. 그래서 아름다운 이야기로 가슴에 잔잔히 남아 있다. 삼포란 명칭은 가상의 지명이라고 작가는 말했다. 내게 ‘삼포 가는 길’은 상상의 길만이 아니다. 삼포로 가는 길은 사람의 도(道)를 얻기 위해 내가 가야 할 길일 것만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책에 대하여

출판사 대표님이 정해준 제목이라 저는 좀 어색하고 낯뜨겁기도 합니다. 책 제목에 이름을 걸고 나니, 더 조심스러워집니다. 코치들의 봉사모임인 해피포럼의 김건중고문님의 “너의 이름을 아름답게 하여라”하는 감명깊은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코칭

코치들은 대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뜻을 두고 코칭에 입문합니다. 코치로서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고할수록 자신의 역할이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는 것인지 의심이 적어집니다. 왜냐하면

가치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인가요?

가치 있는 삶이란 나답게 사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나는 원래 좋을 수밖에 없는 나이고, 하늘과 같은 천성을 갖고 태어났으니 영성과 지성을 지속적으로 고양시켜 나가는 일이 가치

수업소감 34

디자인학과에 재학하며 저의 생각을 남들에게 설득하고, 마음을 얻는 발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어떻게 하면 남들에게 말을 잘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