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난 누구? 여긴 어디? 갈 곳은 어디?”라고 자신에게 묻는다면 뭐라 대답할까?

쉽지 않지만 자기 삶의 주인이라면 스스로 답 할 줄 알아야 한다. 살아가면서 답이 변한다고 해도 문제 될 것은 없다. 삶의 방향을 바로 잡기 위한 핵심 질문은 ‘Who-Where- How’이다. 이 질문은 3가지 관점을 다룬다. 코칭은 ‘과거’에는 관 심이 적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에 주목한다.

첫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Who are you?

둘째, 어디를 향해 가고 싶은가? Where are you going to?

셋째, 어떻게 거기에 가면 좋을까? How will you get there? 일상적인 대화가 솔루션에 집중한다면 코칭 대화는 사람에 집중한다.

Who가 가장 먼저 나오는 이유는 사람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하자면 How보다 Who가 늘 먼저이다. 다음 페이지의 그림4 커리어 코칭 모델은 코칭의 핵심요소를 한눈에 보게 한다. 코칭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들을 뽑아 상호관 계와 순서를 염두에 두었다. 그 의미와 접근 방안을 탐구하자. 커 리어를 다루면서 코칭 참가자가 어떤 사람인지를 빠뜨린다면? 꿈 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만족감이 들어도, 진짜 원하는 것인지, 어 떤 내적 동기를 일으키는 것인지가 모호할 수 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