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항상 마음 속으로는 사람들이 먼저 내게 마음을 열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표현을 하지 않으면 상대는 나의 마음을 모른다. 내가 표현을 하게 된다면 상대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커진다. 그런 마음이 절실하다면 이미 1/3은 성공한 것이며, 열린 마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상대에게 주면 또 1/3은 성공한 것이다. 진실된 마음으로 상대에게 다가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신에게 성실히 대하면 나머지 1/3이 성공하여 100%성공한 것이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다. 나는 너무 상대가 나에게 맞춰주기를 바랬던 것 같다. 내가 먼저 다가가는 것이 한 결 더 편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나는 내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법과 어떻게 해야 상대에게 내 마음을 잘 표현할 수 있는지 배우기로 했다.

상대에게 마음을 주는 방법, 내 마음을 진실되게 받아들이는 것. 정말 말은 쉽지만 어려운 것 같아 보였다. 상대에게 마음을 주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처음은 첫인상으로 시작했다. 표정이 좋아보인다, 활기차보인다, 편해보이고 인상이 친근하면서 밝다 등의 이야기를 먼저 건내는 것이 좋다고 말씀해주셨다. 주변 사람에게 리액션이나 공감, 지지, 격려, 응원 등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공감을 잘하는 것이 키 포인트라고 하셨다. 공감을 잘하려면 감성적 표현도 잘하고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호감이 가는 말로 상대방에게 먼저 다가가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았다. 인정을 하거나 격러, 칭찬, 응원, 축하, 지지 등의 말로 다가가면 사람들도 나에게 쉽게 마음의 문을 열 수 있구나 라는걸 안 것 같다. 내가 저 이야기들을 들으면 사람들에게 호감을 느꼈었는데, 상대방도 같을 것이다. 당연한 것이지만 내가 미처 나의 입장만 생각하고, 간과하고 있었던 내용이었다.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what-why-how순서로 말하는 법을 배웠었는데 여기서도 말하는 순서가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다. 말하고자하는 요점을 정리해서 주제(what)를 말하고, 이걸 말하게 된 배경이나 중요성을 (why) 설명하고, 이를 어떻게(how)실천할 것인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는 순서로 진행된다고 했다.

그리고 상대방의 좋은 말, 선한 의도를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셨다. 사람들에게 마음의 문을 열고, 어떻게 하면 사람들과 좋은 인상을 남기며 오랫동안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인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수업소감 35

비교과 활동 6주차 강의 수강신청을 통해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강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