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깨달았다. 내성적이어서 말을 별로 하지 않아도 고개를 끄덕이는 등 나름대로 대화에 참여만 해도 주변 사람들과 천천히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뜻깊은 말씀이었다. 나도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대학교에 들어와서 천천히 주변 사람들과 말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 사람들도 나에게 긍정적인 말들을 해준다. 별 건 아니지만, 그런 말들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한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는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 발표를 잘하는 스타일이다.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그랬으니까. 완전히 내성적이라곤 볼 수 없는 성격이다. 나도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고, 말하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이다. 발표할 때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하면서 발표를 진행한다. 떨리기도 하지만 재밌었다. 그런 것처럼 나도 주변 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긴장감도 풀리고 그 상황이 재밌어지는 것이다. 오늘 들은 강의 내용대로 대화를 시작할 때 이름이 뭔지, 관심있는 건 뭔지 등을 물어보며 기초적인 내용부터 말하면서 사람들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나도 언젠가는 나를 인정해주고, 많은 내용을 공유할 만한 사이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 믿는다.

이 수업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은 what-why-how 방법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과 대화를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질문과 대답이었습니다. what-why-how로 이야기를 하면 글의 짜임새와 내용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발표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 생겨나며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느껴 오해없이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는 것이 어색한 저는 이야기 거리를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는데 small talk 질문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주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듣는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감하는 방법, 설득하는 방법, 인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특강 이후에 전공 수업인 캡스톤 다학제 디자인과 수소 및 신에너지 자동차 시간에 다른 사람들 앞에서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위의 가르침을 통해 말하기에 자신감이 붙을 수 있었고 논문의 내용을 what-why-how방식으로 발표함으로써 논리적인 발표를 할 수 있었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수업소감 5

다시 한 번 지난 수업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영상이기에 유익하였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인간은 사회적이기 때문이라는 말에 매우 공감하였고 내가 느끼기에도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