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데, 크게 걱정한 것은 아니었지만 꽤 신경 쓰이는 부분이었다. 할 말이 빠르게 생각나지 않을 때마다 스스로 나의 말하기 능력을 낮게 평가할 때가 있었다. 그리고 나까지도 대화 중에 질문에 바로바로 답하지 못하는 사람에 대해 ‘대화 주제에 관심이 없어서 그런가, 나랑 말하기 싫어서 그런가’ 하고 혼자서 판단했던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오늘 강의 중에 대답을 바로 하지 못하는 것은 좀 더 깊게 생각하고 말을 하는 것일 뿐이라고 하신 덕에 나도 모르게 위로가 되었고, 반성을 하게 되었다.

단점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 배웠다. 단점이 단점이 된 것은 내가 나의 성격 중 하나를 나쁘게 바라봤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앞으로 나의 좋지 않아 보이는 성격을 발견하게 된다면, 그것을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성격을 가지는 이유가 선한지를 판단해볼 것 같다. 어떤 것을 더 챙기느라 다른 쪽에 소홀할 수 있고, 누군가를 배려하느라 일을 수행하는 것이 느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이기 때문에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고, 남에 대한 그리고 나에 대한 욕심을 더 내려놓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남이 나에게 마음을 주는 것만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내가 먼저 나에게, 내가 먼저 남에게 마음을 줄 수 있는 현명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렇게 되기 위해 공감과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좀 더 상대의 입장을 살피려는 노력을 해야겠다.

다른 곳에서는 듣기 어려울 내용들을 오늘 강의를 통해 배울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말을 하는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직접 배우는 데 한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차근차근 예를 들어 설명해주시니 내가 당장이라도 말을 더욱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분이 들었다.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내용들을 배워 유익한 시간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수업소감 50

다른 이들에게 마음을 주거나 받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아끼는 마음이 필요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술 들도 필요하다. 우선 우리가 다른 이들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