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 조직의 성과에 초점을 둔 것이 비즈니스코칭이며, 개인 삶의 변화에 초점을 둔 비중이 높은 것이 라이프코칭입니다. 물론 두 가지 코칭 모두 결국 이슈 당사자인 개인이 변화에 주목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비즈니스코칭을 10년 넘게 하면서 다양한 사례를 다루면서 코칭장면에서 고객들이 고민하는 이슈들을 구분해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조직에서는 리더들을 대상으로 코칭을 제공하니 크게 보면 리더십에 해당하는 이슈들이라고도 하겠습니다. 개인 삶의 변화도 결국 셀프리더십이라고 보아도 되므로 공통점이 많다고 하겠습니다.

코칭이슈

① 정체성에 대한 이슈 – 리더로서의 정체성, 내가 누구인지 찾고 싶다거나,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것인지, 자기 삶을 내려놓고 싶다거나 자신감이 없다, 자존감이 없다 등

② 감정조절에 대한 이슈 – 욱하는 성격, 화난 감정상태, 우을해지는 등 자기 감정 조절이 잘 안 된다거나 스트레스가 많다 등

③ 대인관계에 대한 이슈 – 미운 사람 때문에 괴롭다, 불편한 사람과 지내기 힘들다, 피하고 싶다, 갈등관계가 지속된다, 나를 무시한다, 저 사람이 좀 변화가 되어야 하는데 안 된다 저 사람을 믿을 수 없다 등

④ 소통에 대한 이슈 – 말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싫은 소리를 기분 좋게 받아들이도록 표현하고 싶다, 말이 안 통한다, 말을 해도 안 듣는다, 자기고집으로 가득하다, 벽하고 말하는 것 같다, 말하면 그 때 뿐이다 등.

⑤ 자기개발 및 습관에 대한 이슈 – 멘탈관리, 체중관리, 건강, 시간관리, 글쓰기, 취미활동, 수면, 정리정돈을 잘하고 싶다 등 자기관리

⑥ 커리어에 대한 이슈 – 취업, 창업, 전환배치, 경력개발, 이직, 은퇴 후 삶 등

⑦ 조직에 대한 이슈 – 동기부여, 부하육성, 피드백, 업무성과, 목표달성

⑧ 개인 삶에 대한 이슈 – 결혼, 부부관계, 이혼, 자녀교육 행복한 가정, 재정이슈, 이주 등

이런 이슈들을 주제로 코칭대화를 나누었던 사례들은 [코칭과 철학]에 글들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4

디자인학과에 재학하며 저의 생각을 남들에게 설득하고, 마음을 얻는 발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어떻게 하면 남들에게 말을 잘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