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은 것조차 들을 줄 아는 코칭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대학>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 알고, 말하지 않는 것까지 들을 줄 알도록 하는 것이 저의 코칭목표이기도 합니다.

소통량이 많지 않은 리더인 경우 말 수가 적은 대신 자칫 오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만 간결하게 전하겠다는 생각에서 내용만 전달하고 사람을 놓치는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통량이 적은 것은 단점이 아닙니다만, 이것을 장점으로 확장시키는 일은 중요하겠습니다.

<사례> 표현이 적은 리더 사례

코치 : 제가 쭈욱 말씀 나누면서 느꼈던 점이 하나 있는데 말씀드려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말씀해 주시죠.

코치 : 제가 드린 질문에 대해 비교적 짧게 대답을 하시는 걸 보아, 혹시 상사와 대화 나누실 때에도 팀장님에게 좋은 의견이 있어도 표현을 절제하는 편이 아닐까 싶고, 그래서 혹시 손해 보시지는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코칭고객 : 예. 사실 그런 편입니다. 저랑 의견이 비슷하면 굳이 말할 필요를 못 느껴서요. 의견이 크게 다르지 않으면 존중하고 그냥 따라가는 편이고요.

코치 : 그런 것 때문에 구성원이 불평하는 적이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떤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이 납니다. 일 좀 받아오지 마라, 팀 업무 경계를 확실하게 해달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코치 : 그런 말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구성원들이야 일을 적게 하고 싶은 것 아닌가요? 그냥 그 말을 들어주지만 그렇다고 일을 피할 수는 없으니까요.

코치 : 이런 일이 반복되면 어떻게 될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좀 불만이 커지겠네요.

코치 : 구성원이 불평을 말하는 걸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방어적이고 소극적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요.

코치 : 만일 구성원 입장에서 그런 말을 한 좋은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코칭고객 : 현재 하던 일에 집중하고 싶다, 팀 성과목표달성에 주력하고 싶다, 이런 뜻이 있을 수있겠네요. 아~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일을 피하려는 게 아닐 수 있네요. 더 잘하려는 마음이 들어있는데 그걸 못 알아차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치 : 그렇게 긍정의도를 금방 찾으시는 걸 보니 사람 마음을 잘 헤아리시는 분이시네요.

코칭고객 : 아, 그런가요?

코치 : 구성원이 저항하는 것이 아니란 걸 인식하니까 어떠신가요?

코칭고객 : 재가 한쪽면만 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치 : 한 가지 염려되는 것이 있는데…팀장님이 말 수가 적으신 편이잖아요.

코칭고객 : 그렇죠. 제가 필요한 말만 하시는 편이죠.

코치 : 그런데 모처럼 하시는 말씀이 긍정 시각이 아니라면 구성원은 팀장님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싶은데요?

코칭고객 : (고객를 끄덕이며) 아무래도 불편했겠네요.

코치 : 팀장님 의도가 오해없이 구성원에게 전달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코칭고객 : 우선 제가 그들의 긍정의도를 먼저 헤아리고 나서 자신의 의견을 나중에 말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것이 제게 중요하게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존재-인식-행동을 다루는 코칭

문제가 생기면 외부환경이나 남 탓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 비하 혹은 자책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그런 상황에서 하나라도

수업소감 45

평소 인간 관계에 고민이 많았던 터라 말하기 수업에 흥미가 있었다. 특히 나는 남들에게 공감을 잘 해주지 못하거나 감정 표현에 미숙한 것 같다는 자각이 있어 늘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