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같은 놈이 왜 태어났는지 모르겠어!”라는 식으로 존재를 부정하는 말로 전환하게 됩니다.

코칭에서는 존재를 소중히 여깁니다. 따라서 좋은 사람이 생각만 잘 챙기면 된다고 봅니다. 행동을 고쳐야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좋은 사람인 줄 알면 스스로 고쳐나간다고 봅니다. 학교에서 개과천선(改過遷善)으로 배웠지만 유학 고전 원문에는 천선개과라고 합니다.

어린 시절에 존재를 부정 당하는 식의 말을 들어온 사람은 대체적으로 자존감이 낮은 경향을 보입니다. 조직에서도 사람을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인식하면서 “네가 뭘 한다고 나서?, 너 같은 놈이 어떻게 우리 회사에 들어왔냐?” 하는 식으로 사람을 평가절하해서는 곤란합니다. 개인의 창의력이 중요해지고 개개인의 지적 능력을 결합해야 성과가 나오는 구조에서는 특히 각 구성원의 존재를 인정해줄 필요성이 큽니다.

코칭에 등장하는 이슈 가운데 사람에 대한 문제인 경우 상사 등 주변사람들을 원수나 악인으로 까지 인식하는 경우가 생기는 일은 그만큼 감정에 상처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존재에 대한 인식, 행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재검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례> 본성을 오해한 사례

코칭고객 : 저희 집 애 아빠는 정말 나쁜 사람이에요.

코치 : 속상한 게 정말 많은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정말 구제불능이에요. 제가 원하는 걸 들어주질 않아요.

코치 : 실망스러운가 보네요. 좋았던 때로 기억나는 순간은 언제였나요?

코칭고객 : 아니요. 없어요. 원래 그런 사람이에요.

코치 : 오랫동안 참아오셨군요.

코칭고객 : 예. 맞아요.

코치 : 한 가지 여쭤보고 싶은 게 있는데… 원래 그런 사람이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시종일관 같은 모습이란 말이네요.

코칭고객 : 음…그렇죠.

코치 : 지금 원하시는 것은 남편 분이 좋은 모습으로 변해서 가정이 행복해지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그런데 원래 그런 사람이라고 말씀하시면 좋은 모습으로 돌아갈 자리가 없지 않나요?

코칭고객 : 제가 뭘 잘못 말한 건가요?

코치 : 제가 남편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니 좀 답답하단 느낌이 들거든요

코칭고객 : 그런가요?

코치 : 만일 ‘원래 안 그러던 사람인데 요새 형편 없어요’, 하고 말하면 듣는 사람이 뜨끔하고 뭔가 고칠 것을 생각할 것 같은데, ‘원래 그런 사람이에요’ 하니까, ‘내가 그렇지 뭐’ 혹은 당신이 잘 한 건 뭔데?’하는 식으로 반발심이 생기거든요.

코칭고객 : 아~~! 그럴 수 있겠네요. 남편 입장에서 그렇게 들릴 수도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네요

코치 : 만일 사모님이 ‘난 실망했어요. 당신은 원래 그런 사람이 아니잖아요?’ 한다면 저는 ‘아차,내가 또 실망시켰네. 못 난 사람을 챙기며 살아줘서 고마워요’ 이렇게 응대할 것 같습니다.

코칭고객 : 아~ 알겠습니다. 단지 말 한마디 바꾸니까 전혀 다르게 들리네요. 말하는 사람도 듣는사람도 훨씬 좋아질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