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말을 덧붙이기 보단 상대방의 말을 진심으로 들어주고 적절한 재스처만으로도 호감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앞으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많이 내려 놓을 수 있게 되었다.

말을 조리있게 하는 방법을 배워 나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말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와 대화를 나눈다는 것이 단순하고 간단한 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만큼 순식간에 나의 인상이 결정되는 만큼 말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이를 조금이라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말할 때 강의를 통해 배운 것들을 이용하여 나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다. 나도 상대방을 겉만보고 오해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사실 말하기 이전에 듣고 공감해야 한다고 한다. 많이 말하지 않아도 리액션, 지지, 격려를 잘하면 되는 것이다. 그 과정에는 구체적으로 상황과 감정을 동시에 말해 더 구체적으로 전달하거나, 말하는 순서를 바꾸어 얘기하는 등 방법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좋은 걸 먼저 말하는 게 좋다는 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수업을 듣고 어떤 걸 먼저 말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긍정적인 시선으로 볼 수 있게 의도하여 말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동시에 내가 긍정적으로 상대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제를 먼저 말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제란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이니 먼저 말하는 것도 상대방이 듣기에 편할 것이다

평소에 오해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서로 솔직하게 말하더라도 각자 말하는 방식도 생각하는 방식도 달라 싸우게 될 때가 있다. 선한 마음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상대에 집중하는 것은 굉장히 힘이 드는 일이지만 꼭 필요하니, 교수님이 말하신대로 연습하면 더 나아진다고 하니 앞으로는 잘 말하도록 더 노력해봐야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0

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수업소감 5

다시 한 번 지난 수업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영상이기에 유익하였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인간은 사회적이기 때문이라는 말에 매우 공감하였고 내가 느끼기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