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더 재밌게 들었다. 그 중 ‘스몰 토크’를 이용하는 말하기 방법이 인상이 깊었다. 대학 와서 여러 조별과제를 하며 초면인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그때마다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항상 어려웠었다. 그러나 이런 질문들을 활용하면 말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 것 같다.

말하기를 할 때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인상이 깊다. 일단 누군가와 대화를 하려면 먼저 상대방이 나에게 마음을 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

또한 말하기 순서를 제시해주셨던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너무 막연하게만 느껴졌는데, ‘What, Why, How’ 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해주시니 더 이해가 잘 되었다. 또 이 단계 중 ‘큰 것부터 말하기’나 ‘좋은 점부터 말하기’ 같은 세부 방법들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으면 애초에 좋은 관계가 맺어질 수 없는 것 같다.

선한 마음을 가지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말씀이 가슴에 와닿았다. 정말 이런 말하기 방법은 살면서 꼭 알아야하는 부분이고,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좋았다. 또 예시 상황도 같이 언급해주셔서 강의가 정말 재밌었다. 이번 강의 내용은 너무 유익했고, 잘 안 잊혀질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