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들어주신 어머니와의 대화에서 “깨워달라고 했는데 왜 안깨워줬어요?”와 같은 상황은 학창시절 저와 저희 어머니의 대화였습니다. 저는 무작정 어머니께 다음 날 일찍 깨워달라고 했는데 왜 안깨워주셨냐. 어머니 때문에 지각하게 생겼다. 라며 늦게 깨운 것에 대해 짜증을 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생각해보니 어머니께서는 전 날 제가 늦게까지 독서실에서 있다가 온 것을 아셨는지 조금이라도 더 자라며 늦게 깨우신 것이었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제가 좀 더 자길 바라는 선한 마음에서 저를 늦게 깨우신 것이었습니다. 조금만 더 상대방의 의도에 대해 생각해보면 선한 의도를 읽을 수 있고 갈등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친구들이나 동료,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이나 문제 상황에서도 이는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내가 언짢다고 생각했거나 불편했다고 생각했던 일을 되돌아보고 상대가 어떤 의도로 그 행동을 했을까를 생각해 본다면 선한 본질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수업소감 4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살리는 말, 살아나게 하는 말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집안에 돈이 쪼달리자 아내가 밀린 외상값을 받아오라고 남편을 채근한다. 구두를 만들며 생계를 꾸려가는 제화공인 남편은 몇 집을 돌아다니며 아쉬운 표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