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그 말이 옳사옵니다’, 하는 식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기 일쑤이고 소신껏 말하기 보다는 눈치를 보는 일이 많았다. 세종은 참여적인 분위기로 심도있게 토론하여 국정을 이끌어가고자 했으나 회의는 그렇지 못했다.

세종은 이런 분위기를 개선하여 토론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시도한 것이 바로 경연회의였다. 왕과 신하들이 한자리 모여 고전을 읽으면서 함께 나랏 일을 토론하는 방식이었다. 회의에서 고전을 읽도록 한 이유는 책을 소재로 말문을 열기가 비교적 편했기 때문이었다. 이른바 제 3자적 관점에서 신하들이 이야기하기가 편했고,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자연스레 국정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개진하기 쉽다고 보았다. 국정을 맡은 재상들도 함께 참석했기 때문에 경연회의가 단순한 독서 토론으로만 끝나지 않고, 정책에 관한 사안까지 자연스레 주제가 되어 토론이 깊어질 수 있었다.

세종이 경연에서 채택한 첫 번째 교재는 <대학 연의> 였다. 4서3경과 같은 경서를 택하지 않은 이유는 이론을 다룬 책을 교재로 사용하면 맞고 틀리고의 논쟁으로 흐를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대학연의>는 역사 즉 스토리를 다룬 책이어서 이른바 케이스 스터디하기가 용이했다.

세종이 경연 회의를 이끌어 간 예를 살펴보면 바로 독서코칭의 방식이라 하겠다. 첫 경연에서 세종은 책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과거제도는 참다운 인재를 얻고자 함인데, 선비들이 들뜨고 화려한 것만 좋아하는 버릇이 있다. 어떻게 이런 것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발제된 질문을 하나의 토론 주제로 삼아 이야기를 나누고 결국 ‘과거시험이 종래의 암기식에서 벗어나, 특히 종장에서 대책을 서술하도록 논술식을 강화하자’는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