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흔히 하는 이야기가 악惡이 있다 혹은 악행이 있지 않느냐고 반론을 제기합니다. 행동에 잘못이 있으므로 범인도 있고, 죄인도 있다라고 단언하지요.

행동에는 잘못이 없습니다.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기에 악이 따로 있다는 논리로 흐르게 됩니다. 문제는 그 다움입니다. 악을 설정하면 그 다음 생각은 악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쉽습니다. 이른바 경험주의 혹은 행동주의 철학에서는 행동을 중요시 여기며 악은 제거해야 한다는 걸 주장합니다.

‘행동에는 잘못이 없다’는 시각은 어떤 행동의 결과가 잘못되었을 때 행동은 생각을 따라온 것뿐이니 고칠 것은 생각이 아니겠느냐는 겁니다. 그래서 심신미약한 사람이나 정신이 박약한 사람에 대해서는 죄를 경감해주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이, 누군가를 악한 사람이라고 규정 짓고 난 후 그 사람을 미워하지 않기란 어렵습니다.

잘못이란 지나간 것이니 붙잡지 말라는 뜻도 살펴보면 좋습니다. 과오, 과실의 과(過)란 글자는 지나갈 과(過)와 같습니다. 이와 같이 옛 선인들은 세상을 밝고도 열린 시각으로 바라본 듯합니다.

코칭에서는 코칭고객의 생각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과거나 과오(過誤)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과거(過去)는 이미 지나간 일이기에 위행(잘못된 일)에 대해 관심을 별로 갖지 않는 것입니다. 현재의 심리는 과거의 어떤 사건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상담과 달리 코칭은 과거보다는 미래에 초점을 둡니다. 문제 자체보다는 기회 찾기에 초점을 둡니다. 원인 자체보다 방향성을 지향합니다. 유학에서 과(過)라는 글자를 바라보는 시각이 코칭의 시각과 유사해서 좋습니다.

<사례> 행동이 아닌 생각에 초점을 맞추는 코칭사례

코칭고객 : 구성원 중 한 명이 공식회의 자리에서 자꾸 대드네요.

코치 : 여러 사람 앞에서 그렇다면 당황스럽기도 하고, 자주 그렇다면 그 사람에게 화도 나시고 협조적이지 않아 답답하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제 심정이 그렇습니다. 그것도 비판적 관점을 들이대며 공격적인 말투로 하니까 불편하기 짝이 없네요.

코치 : 말투까지 공격적이군요. 어떻게든 팀웍도 살아나고 좋은 모습으로 회의를 이끌고 싶으신 거네요.

코칭고객 : 예. 맞습니다.

코치 : 그 구성원이 만일 일부러 그렇게 행동한다면 그 사람 마음 속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걸까요?

코칭고객 : 음…(잠시 침묵) 나를 좀 알아 달라,는 마음도 있겠고…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검토하자는 뜻도 있었겠네요. 생각해보니 제가 그 친구 의견을 가볍게 생각하고 별로 귀담아 듣지 않아서 더 그런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 짐작 되네요. 그동안 그 친구가 말을 하면 제 표정도 별로 안 좋았던 것 같습니다.

코치 : 다음에 같은 상황이 되면 어떻게 반응하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의견을 내주어 고맙다고 일단 말하겠어요. 그리고 그 친구가 말하려는 의도를 잘 새겨듣고, 그래도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문하면서 천천히 조율해 나가야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수업소감 17

오정근 교수님의 글말 교실 강의를 듣고 자신있게 말하기에서 소개해주신 방법이 상기되어서 좋았습니다. 학기 마무리 부분에서 복습하는 느낌도 들고 다시 머릿속으로 들어오니까 정말 그렇구나라는 느낌과 함께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