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난 누구? 여긴 어디? 갈 곳은 어디?”라고 자신에게 묻는다면 뭐라 대답할까?

쉽지 않지만 자기 삶의 주인이라면 스스로 답 할 줄 알아야 한다. 살아가면서 답이 변한다고 해도 문제 될 것은 없다. 삶의 방향을 바로 잡기 위한 핵심 질문은 ‘Who-Where- How’이다. 이 질문은 3가지 관점을 다룬다. 코칭은 ‘과거’에는 관 심이 적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에 주목한다.

첫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Who are you?

둘째, 어디를 향해 가고 싶은가? Where are you going to?

셋째, 어떻게 거기에 가면 좋을까? How will you get there? 일상적인 대화가 솔루션에 집중한다면 코칭 대화는 사람에 집중한다.

Who가 가장 먼저 나오는 이유는 사람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하자면 How보다 Who가 늘 먼저이다. 다음 페이지의 그림4 커리어 코칭 모델은 코칭의 핵심요소를 한눈에 보게 한다. 코칭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들을 뽑아 상호관 계와 순서를 염두에 두었다. 그 의미와 접근 방안을 탐구하자. 커 리어를 다루면서 코칭 참가자가 어떤 사람인지를 빠뜨린다면? 꿈 이나 목표를 설정하고 만족감이 들어도, 진짜 원하는 것인지, 어 떤 내적 동기를 일으키는 것인지가 모호할 수 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