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말을 덧붙이기 보단 상대방의 말을 진심으로 들어주고 적절한 재스처만으로도 호감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앞으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많이 내려 놓을 수 있게 되었다.

말을 조리있게 하는 방법을 배워 나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말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와 대화를 나눈다는 것이 단순하고 간단한 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만큼 순식간에 나의 인상이 결정되는 만큼 말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이를 조금이라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말할 때 강의를 통해 배운 것들을 이용하여 나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다. 나도 상대방을 겉만보고 오해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사실 말하기 이전에 듣고 공감해야 한다고 한다. 많이 말하지 않아도 리액션, 지지, 격려를 잘하면 되는 것이다. 그 과정에는 구체적으로 상황과 감정을 동시에 말해 더 구체적으로 전달하거나, 말하는 순서를 바꾸어 얘기하는 등 방법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좋은 걸 먼저 말하는 게 좋다는 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수업을 듣고 어떤 걸 먼저 말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긍정적인 시선으로 볼 수 있게 의도하여 말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동시에 내가 긍정적으로 상대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제를 먼저 말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제란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이니 먼저 말하는 것도 상대방이 듣기에 편할 것이다

평소에 오해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서로 솔직하게 말하더라도 각자 말하는 방식도 생각하는 방식도 달라 싸우게 될 때가 있다. 선한 마음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상대에 집중하는 것은 굉장히 힘이 드는 일이지만 꼭 필요하니, 교수님이 말하신대로 연습하면 더 나아진다고 하니 앞으로는 잘 말하도록 더 노력해봐야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