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평소에 말을 할 때 신중하고도 깊게 생각한 후에 말을 하려는 습관을 기르려고 한다.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 제목이 이 강의를 집중에서 들을 수 있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특히 순서의 문제가 인상 깊었고 말을 하다보면 마찰이 생겨 서로에게 상처주기 마련인데 예의, 매너, 존중이 필요하다는 강의 내용을 듣고 그런 태도를 지니겠다고 다짐했다.

그리고 나는 말수가 적고 내향적이라 처음 보는 사람은 물론 몇 번 보고 말을 하고 안면을 튼 사이인데도 불구하고 말을 할 때 어색해하는 경향이 있어 걱정이 많았는데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자신감을 지니고 말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말을 조리있게 하지 못하는 편이라 핵심 내용 전달과 소감, 감상을 말할 때 어려움을 겪었던 나로서는 교수님이 강의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안녕하세요 오정근 교수님, 이번 글말교실 중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강의였습니다.

평소 낯선 사람들과 대화하는 게 힘들었는데 그중 대화주제를 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절실, 진실, 성실에 기본을 두고 상대의 표정을 살피며 흥미있어 하는 주제를 찾고 그 주제로 대화를 이어가보는 것을 실천해보겠습니다.

심리적 안정을 주는 사람이 되어 새로운 사람들과도 감정적 교류를 할 수 있길 바라며 감상문 마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