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손선수의 일거수일투족이 궁금합니다.

한국팬을 위한 토트넘 홋스퍼 홈페이지에 이어 토트넘은 한국팬들을 위해 손흥민 공식 트위터를 오픈했습니다.

1월 22일(한국시간) 손흥민선수는 트위터를 통해 다양한 질문에 답을 하였습니다.

과연 팬들은 어떤 것을 궁금하게 생각했는지 저도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한국팬을 위한 토트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쳐 https://www.tottenhamhotspur.com/kr/

“만일 초능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어떤 초능력을 선택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절대 지치지 않는 체력을 선택할래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손선수는 자신의 강점을 국대화하고 싶은가 봅니다.

아시다시피 무리뉴 감독이 경기 중 손흥민에게 “뛰지마라”고 외칠 정도였으니,

인성갑인 손선수답게 다른 사람에게 걱정을 끼치고 싶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한국팬을 위한 토트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쳐 https://www.tottenhamhotspur.com/kr/

“축구선수가 아니었다면 어떤 직업을 선택했을까요?”라는 다른 팬의 질문에 “축구 없는 저의 삶은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저는 축구를 너무 사랑하고, 축구를 하고 있는 지금이 너무 좋아요”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축구광이 분명합니다. 그렇다면 손선수는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즐기면서, 잘하기까지 하는 사람이네요. 부럽기 짝이 없습니다!

“은퇴 후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이 무언가요?” 하는 질문에 “사실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가능한 오랫동안 축구 선수로 뛰고 싶기 때문에 계속 몸 상태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고요. 은퇴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있으니 천천히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라고 말을 합니다.

한국팬을 위한 토트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쳐 https://www.tottenhamhotspur.com/kr/

아마 결혼 이야기가 나올 법하다고 생각했는데, 손선수는 오직 축구 하나만 생각하고 사는 사람같습니다. 어찌 보면 ‘미쳐야 미친다’고 하듯이, 정말 한 분야에 최고가 되고 싶은 사람이라면 멘탈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지 보여주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역시 월클은 남다릅니다.

손흥민 선수 덕분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하는지 정말 자랑스럽고 고맙습니다.

한국팬을 위한 토트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쳐 https://www.tottenhamhotspur.com/kr/

성찰질문)

1) 만일 모든 것이 주어진다면 어떤 초능력으로 무엇을 하고 싶나요?

2) 지금 직업에 만족하나요? 다른 것을 한다면 어떤 직업을 택하고 싶나요?”

3) 은퇴 후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이 무언가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글쓰기

안녕하세요. 오정근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글쓰기에도 AI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희가 어떻게 AI와 함께 글을 쓸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