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코칭은 지혜를 다루며, 존재와 인식을 다루는 공통점이 있다. 「오정근의 감정코칭」책은 퇴계 이황과 스피노자의 감정 철학을 토대로 감정의 본질과 인간의 마음 구조를 탐구한 책이다. 감정의 구조를 탐구하면서도, 실제로 삶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코칭 대화 사례들을 제시하여 학문적 깊이와 실용성을 함께 추구했다. 이 책은 철학기반의 코칭을 접목한, 한마디로 ‘생각 잘 하는 방법서’다. 생각을 잘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생각을 ‘요리’로 비유하자면, 관념은 요리의 재료에 해당한다. 재료가 신선해야 요리가 맛있듯, 관념이 타당해야 참다운 인식이 일어난다. 세포가 몸의 최소 단위이듯이 관념은 정신의 최소 단위다. ‘정신의 본질은 인식에 있다’고 스피노자는 말한다. 코칭의 효과는 인식 전환(알아차림, 깨달음, 의식 확장)에 있다. 정신의 기원과 감정의 메커니즘을 알고 스스로 감정의 주인으로 자유함을 더 많이 느끼면 좋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수업소감 50

다른 이들에게 마음을 주거나 받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아끼는 마음이 필요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술 들도 필요하다. 우선 우리가 다른 이들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 이유는

가정 불화를 평화로 전환시킨 코칭

코치는 경청을 하되 맥락적 경청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생각을 100% 완벽히 표현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생략도 되고 왜곡도 된 상태로 전달이 됩니다. 따라서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