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 고 말한다면? 그 주장은 태양과 지구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태양과 지구는 물리적 이치에 따라 움직일 뿐이다.

하지만 사람들로 이루어진 사회는 그와 다르다. 경영학의 아버지인 피터 드러커는 “사회 원칙(social discipline)과 관련된 가정이나 전제 (premise)은 자연과학의 가정보다 실질적으로 훨씬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전제를 잘못하면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라고 <21세기 지식경영>에서 강조했다.

만일 누군가가 “사람들은 이기적이다.”고 전제하고 산다면, 타인에 대해 협업을 피하거나 혹은 자신도 손해를 입지 않으려 방어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선한 존재다.”는 전제를 지니고 산다면? 자신도 그렇게 행동하거나 타인에게서 선한 동기를 찾으려 한다. “그럴만한 이 유가 있었겠지”라는 수용적 태도를 취하게 된다.

지금부터 이 책에서 다룰 8가지 전제를 미리 소개한다.

왜냐하면 코치는 ‘이슈’보다는 ‘존재’, 즉 사람을 다루는 일을 하기 때문 이다. 전체적 맥락을 이해하거나, 통찰을 얻는데 ‘전제’가 도움을 줄 수있다. 누군가는 쉽게 동의할 수 있지만, 누군가는 책을 읽어 나가면서 차 차 동의하리라 믿는다. 의문을 갖고 출발해도 의미가 있다. 의미가 있기 에 그만한 가치가 있다.

사람을 보는 관점에 대한 기본 전제

① 사람들은 선한 의도를 갖는다.

② 사람들은 세상에 선한 영향을 미치고 싶어 한다.

③ 사람들은 자신의 상태가 더 나아지기를 원한다.

④ 사람들은 자기가 인식하는 바에 따라 행동하며 살아간다.

⑤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잘 지내면서 인정받기를 원한다.

⑥ 사람들은 늘 자기에게 좋은 것을 택하며 살아간다.

⑦ 사람들은 감정으로 판단한다.

⑧ 사람들은 욕구불만이 있을 때 스트레스 행동을 한다.

그것은 누구나 그렇고, 자연스러운 일이며 바꿀 수 있다.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수업소감 14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모두 다 듣고 나니 이전 수업 내용 리뷰하는 느낌도 들어서 좋았습니다. 믿자명친! 이전에 수업들을 땐 뭐 저런걸 하나…. 저런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