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반면에 스스로를 완전자임을 깨닫도록 돕는 학문은 베푸는 사람으로 혹은 사랑을 주며 살아가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왠지 부족해 보이고 불완전하다고 생각들기도 할 겁니다. 만일 그런 생각이 든다면 그것이 바로 완전의 증거입니다. 완전자이기에 더 알고 더 채우고 싶어하는 것이 아닐까요?

학문이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때, 또는 막다른 골목에 몰려 있을 때 알아보며 물어보는 과정입니다. 학(學)이란 글자는 알아본다는 뜻이며 문(問)은 묻는다는 뜻입니다. “내가 왜 이러고 있지? 왜 이렇게 안 풀리지? 왜 기분이 안 좋지? 어떻게 하면 좋지?” 이런 답을 밖에서만 찾을 것인지 아니면 내 안에서 나를 돌아보고 찾을 일인지 자기가 결정할 문제입니다. 혹은 어떤 일의 실패를 나 전체의 실패로 간주할 것인지, 잘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답은 내 안에 있습니다.

<인식 전환 사례>

코칭고객 : 왜 이렇게 일이 안 풀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코치 : 의도대로 풀리지 않아 답답하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이 일을 더 한다는 것이 아무래도 한계이고 무리인가 보네요.

코치 : 뭔가 부족함을 느끼시나 보네요. 전에 일이 잘 풀릴 때와는 무엇이 다른가요?

코칭고객 : 글쎄요. 환경이 달라진 것 같네요.

코치 : 그때는 어려운 환경이 아니었나요?

코칭고객 : 그건 아니죠. 이 일을 시작할 때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코치 : 그동안 많은 경험이 쌓였을 텐데 그렇다면 어떤 능력이 줄어들었나요?

코칭고객 : 생각해보니 그것도 아니네요. 하는 만큼 실적이 안 나오니 위축감이 들었나보네요.

코치 : 한계이고 무리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이군요. 이것을 시련이라고 할 때 이런 시련은 사장님만 겪는 것일까요?

코칭고객 :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

코치 : 그렇다면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이나 위축감은 어떤 긍정적 신호일까요?

코칭고객 : 그렇네요. 부진의 원인을 돌아보고 새롭게 시도하라는 신호겠네요.

코치 : 아~ 그렇게 볼 수 있네요. 혹시 가지고 있는 강점 가운데 아직 덜 사용하고 있는 강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코칭고객 : 음… 끈기와 추진력이네요. 한 번 마음 먹으면 물고 늘어지는 성격인데, 그 질문을 들으니 제가 반성이 되네요.

그동안 너무 안일했고, 나태했다는 생각이 밀려옵니다.

코치 : 말씀하시면서 이를 꽉 깨무시던데, 어떤 마음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코칭고객 : 다시 시작하려구요. 부진한 데는 그럴 이유가 있었던 것인데, 그에 앞서 제 정신력이 무너져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저를 다시 찾게 되어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