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글쎄요.“ 엄마가 말끝을 흘리며 결심을 못한 것 같은 대답합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지금 이 휴대폰을 구입하면 어떻게 될까요?”

“너무 기분이 좋죠! 친구들이 이걸 보면 멋지다고 할 거에요.”

엄마가 “신형이라 이게 좀 비싸서…”

판매사원이 딸을 바라보며

“지금 휴대폰을 구입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딸이 대답합니다.

“입학도 했는데… 친구들은 벌써 다 바꿨는데, 나만 구형폰 들고 다니려니까 좀 그렇고, 지금 사용하는 것은 충전도 자주해야 하고 좀 불편하죠.”

판매사원이 “그렇겠네요. 그렇다면 휴대폰을 구입하면 어떤 일이 생기지 않을까요?’

“조만간 바꿀 건데 무얼 살 건지 또 고민하지 않을 것 같아요.”

딸이 엄마를 바라보며 대답을 계속 이어갑니다.

“또 엄마한테 조르는 일도 없을 테고요.”

그러자 엄마가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합니다.

“오늘도 예가 조르는 통에 여기 오긴 왔는데 오늘 안 사면 또 나를 조르겠네”

판매사원이 친절한 목소리로 묻습니다.

“그럼 이걸로 하시겠어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에너지 저장소에 모인 아이들.

 “여기에 저에 대해 좋은 말을 써 주세요.”명찰을 보니 혁이었다. 청소년 비전캠프에 도착하자마자 키가 제법 큰 중학생이 불쑥 꺼낸 말이었다. 갑작스런 요청에 살짝 당황했으나 아이의 요구가

마음이 힘들 때 어떻게 하나요?

1) 힘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난능(難能)이란 단어입니다. 어렵고 힘드니까 능해진다, 는 뜻입니다. 2)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좋은 질문을 제게 던지는 겁니다. 이런 고난에도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책 속으로

■ 책 속으로 가끔 주변에서 인생의 전성기가 ‘지금’ 아니냐고 묻는다. 나는 그렇다고 인정한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었고, 모든 것이 우연이었다. ‘사람은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라는 말이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