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대학(大學)>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위의 3가지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한다 면 효과를 거둔 것이다. 이 책을 읽은 답도 “그렇다.” 이길 바란다. 이제 편안한 마음으로 하나씩 살펴보자.

첫째, 명명덕(明明德). 자기 안의 강점(미덕)으로 스스로 밝아 졌는가? 총명, 현명의 명(明)이다. 커리어 코칭은 자기 존재에 대 한 의미를 확장시킨다. 수도 없이 많은 자신의 강점을 확인하게 된다. 자신감과 자존감이 커지면서 자신과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본다,

둘째, 신민(新民). 새로워졌는가? 배웠으니 밝아진다. 밝아졌으 니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새로워진다. 주어진 과제 혹은 관계 속에 서 자기답게, 자신감 있게 행동한다면 그것처럼 좋은 것이 또 있 을까? 커리어의 성장은 일이나 과제를 통해 일어난다. 남들이 달 라졌다고 느낀다면 바람직하다.

셋째, 지선(止善). 좋은 상태에 머무는가? “알고 보니 다 좋은 것인데,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 줄 알았네.”, 혹은 “역경은 나 를 성장시키고, 배움을 얻게 하는 기회였네.”라는 깨달음이 온다. 마음이 평온한 상태에 머문다. 상황이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이 해하는 힘이 생기면 잘 배운 것이라 하겠다.

코칭의 효과는 이렇게 단계별로 3가지를 꼽는다. 시간 단계별 로 그 효과를 파악하면 된다. 코칭 세션 중 참가자가 인식의 변화 를 말하면 잘된 코칭이다. “아하! 그렇구나.”, “맞아요. 제가 알고 있었는데 까마득히 잊고 있었네요.”처럼 의식의 확장, 깨달음, 통 찰을 얻으면 밝아지는 것이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