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다루기 영역]

그림에는 4가지 상황, 즉 앎에 이르기 위해 관찰할 때, 사람들과 관계할 때, 곤궁할 때, 일을 할 때로 구분하였습니다. 각기 상황마다

2개씩 짝을 지어 대응행동을 언급하였습니다.

8가지 상황에서 생각을 챙기도록 돕는 질문세트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보았습니다.

① 들을 때에는 귀 밝게 듣자.

à 질문 예) 그렇게 하신 좋은 이유가 무언가요?

② 볼 때에는 긍정적으로 밝게 보자

à 질문 예) 이 사건이 주는 긍정적인 면은 무엇일까요?

③사람을 대할 때에는 부드러운 표정과 공손한 자세로 대하자

à 질문 예) 상대방이 자신을 어떻게 대해주기를 바랄까요?

④사람을 대할 때에는 경건한 자세로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하자

à 질문 예)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어떤 점을 인정할 수 있을까요?

⑤화가 날 때에는 분풀이를 하고 났을 때 겪는 어려움의 결과를 생각하자

à 질문 예)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⑥잘 모를 때에는 묻도록 하자. 좋지 않은 쪽으로 추측하지 말자.

à 질문 예) 그리하신 것은 어떤 점을 고려하신 건가요?

⑦말할 때에는 핵심과 요점에 맞추어 표현이 충실한지 살펴보자

à 질문 예) 목표와 방향이 원하시는 것과 일치하나요?

⑧이득이 눈에 보이면 올바른지(義로운지) 먼저 살피자

à 질문 예) 지금 이 결정을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한다면 어떻게 인식할까요?

<사례> 생각을 다루는 코칭사례

코칭고객 : 사람이 어디 쉽게 변하나요? 아무리 해봐도 안되거든요!!

코치 : 구성원이 좋게 변하도록 그동안 애를 많이 쓰셨군요. 어떻게든 문제가 사라지고 변화되기 바라시는 거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야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상대가 변하는 게 쉬울까요? 아니면 팀장님이 지금과 다른 방식으로 해보시는 게 쉬울까요?

코칭고객 : 나도 바꾸기 어려운데 상대를 바꾼다는 건 더 어렵겠네요.

코치 :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그러면 팀장님이 자기 생각을 바꾸는 게 쉬울까요? 자기자신을 바꾸는 게 쉬울까요?

코칭고객 : 생각을 바꾸는 게 더 쉽겠네요! 제가 어떤 생각을 바꿔야하나요?

코치 : 구성원이 무언가 지금보다 더 잘 알면 더 잘 하거나 좋아지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겠네요.

코치 : 성장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요? 아니면 아직 때가 덜 되어 그렇고, 어떤 계기가 되면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코칭고객 : 그렇게 밝게 생각하는 게 저에게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책 특징과 목차

커리어 코칭은 물론 삶의 철학과 태도까지 성찰하게 만드는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은 다음 5가지 주안점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1. 존재 중심의 코칭 자존감과 자신감을 높이고, 자기 이슈의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수업소감 4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