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생각입니다. 질문해보면 그럴만한 사정이 있습니다. 집기양단을 생각하면서 나도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만일 부정적 시각의 한쪽 극단으로 몰고 간다면 몰고 가는 사람이나 당하는 사람이나 모두 불편하기 마련입니다. 이 사례는 머리 속에 집기양단이란 단어를 염두에 두고 대화를 했던 경우입니다. 앞의 은악이양선 사례에서도 ‘공부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 역시 양단을 붙잡고 물었던 사례였습니다.

공자도 집기양단했다고 논어에서 밝힌 바 있습니다. 공자가 말하길 “내가 아는 것이 있는가? 나는 아는 것이 없다. 누군가 내게 물어 오더라도 나도 잘 몰라서 멍 때릴 것입니다. 나는 이것인가 저것인가 양쪽 끝을 두들겨 보고 최선을 다 할 뿐입니다.”

<사례> 집기양단을 접목하여 주제를 확장한 사례

코칭고객 : 새로운 사업을 해야 할 타임인데 시도하려니 겁이 나네요

코치: 겁이 난다고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규사업을 구상하는 의도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지금 사업은 정체되어 돌파구가 필요해서 신규사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코치: 그럼에도 선뜻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언가요?

코칭고객 : 성장은 정체되어 있지만 하던 사업이라 스트레스 덜 받고 좀 안주하고 싶다는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해서요.

코치: 이대로 가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마진이 갈수록 적어져서 생존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코치: 고민이 많으시겠습니다. 신규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대한 선한 의도는 정체된 사업의 돌파구 마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맞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선한 의도는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제가 맞게 들었나요?

코칭고객 : 예.

코치: 선택지를 넓혀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예컨대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기, 다른 하나는 기존사업을 그대로 운영하면서도 경제적 안정을 찾기. 두 가지 중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싶으세요?

코칭고객 : 신규사업을 하면서도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올라오네요.

고객이 진정 원하는 방향에 맞추어 코칭을 전개하여 잘 마친 기억이 납니다. 돈도 벌면서 구성원이 행복을 느끼는 직장을 만들 수는 없을까? 이런 질문도 집기양단에 해당합니다. ‘그런 게 가능이나 하겠어?’하고 물으면 불가능한 답이 나오겠지만, 질문이 훌륭하면 훌륭한 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중용』에서 언급한 호문호찰, 은악이양선, 집기양단은 모두 생각의 틀을 바꾸는 방법이자 지혜를 얻는 방법입니다. 지혜를 얻는다는 것은 의심에서 벗어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또한 인간의 존재를 바라보는 인간관이 담겨있기도 합니다. 인간의 존재를 온전 혹은 완전하게 바라보는 코칭철학과 부합되기에 순임금의 지혜를 얻는 방법은 코칭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