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그렇습니다. 모른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안다는 것은 안다는 것을 알거나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논어』 위정편을 보면 공자가 이런 말을 합니다.

“유(由)야! 안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마. 알면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칭을 해보면 문제가 되는 상황은 ‘잘못 알면서 바로 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코칭고객이 힘들어 하는

이유는 대체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을 자기가 제대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인식의 오류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제가 겪어봐서 아는데, 그 사람은 능력도 안되고 더 이상 구제불능이거든요” 라든가

“제가 많이 기회도 주어 왔는데 그 사람은 적응도 못하고 사회성도 떨어지고 아마 열등감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대체적으로 현상으로 보면 그런 말들이 맞을지 몰라도, 사람의 가능성 대신 한계를 단정해버린다면 우리는 육성이나 코칭에서 어떤 희망도 갖기 어렵습니다. 만일 리더가 바라본 그 사람이 가능성이 없다면, 리더십도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것입니다. 자녀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코칭장면에서 극적인 변화를 많이 경험했었기에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면 성공하지 못한 방법을 배운 것입니다. 성공 기회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사례> 부지(不知)를 챙겨 인식이 전환된 사례

코칭고객 : “예약이 밀리니까 당일 예약을 받지 못하는 것인데, 적어도 하루 전에 예약을 해야지, 당일 예약을 안 받아준다고 문자로 거친 표현을 하니 속상하네요.”

코치 : “그러시겠네요. 손님에게 정성껏 대하는 입장에서 그런 말을 들으면 많이 서운하셨겠어요. 손님이 많은 걸 보니 쉴 틈도 없어 보이네요. “

코칭고객 : “그런 한 마디에 기분이 상해서 오늘 아침부터 일할 의욕이 떨어지네요.”

코치 : “말 한 마디가 힘이 될 텐데, 손님의 말씨에 신경 쓰일 때가 많겠습니다.”

코칭고객 : “맞아요. 왜 저렇게 밖에 말을 못하나 싶을 때가 있어요.”

코치 : “그렇죠? 말을 할 줄 아는 분이니까 더 잘 느끼겠네요. 그런데 상대가 잘 모르고 실수한 말에 대해서는 평소 너그러우신 편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렇긴 한데 무슨 말씀이죠?”

코치 : “오늘 고객이 내 입장을 잘 모르고 한 말일 수 있는데, 너무 민감해하고 불편해한다면 자기자신만 억울하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그거 말이 되네요. 내 상황을 알고 한 말이 아닐 수 있네요. 그 사람은 그저 자기 입장에서 말을 한 것뿐일 텐데, 내가 공연히 신경이 곤두서서 기분 나빠 하고 있는 거네요.”

코치 : “갑자기 드는 생각이 있는데 나눠도 될까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문제 아닌 걸 문제 삼으면 문제가 되고, 문제를 문제삼지 않으면 문제가 안되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수업소감 27

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