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젊은 부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고 이민을 가지만 결코 녹녹치 않다.

영화 첫 장면에는 이칸소 의 삭막한 농장으로 장착하러 이사하는 젊은 부부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이 부부에게도 갈등이 있다. 아내는 도시 생활을 원하지만 남편은 꿈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기껏 병아리 똥구멍을 들여다보는 감별사로 평생을 살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다. 자기 손으로 직접 농장을 일구어 성공을 자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그 성공이 누굴 위한 것이냐고 아내는 따져 묻는다.

부부에게는 심장이 약해 늘 걱정스런 아들이 있다. 정기검진을 하러 간 날, 부부는 의사면담을 기다리다가 대화를 한다. 결혼을 약속하면서, 어려울 때 서로 힘이 되고 구해주자고 했지만 그 때까지 살아온 걸 보면 그렇지 못했다고 회상한다. 아내에게 아이들과 도시에서 살라고 하면서 자신은 농장에서 지내겠노라고 하며 따로 살자고 제안한다. 아내는 서로가 어려움에서 구해줄 주체가 되질 못하고 결국 돈이 자신들을 구해주는 거냐며 또 다시 따저 묻는다. 병원에서 돌아오는 날 남편은 농장 수확물 납품계약도 성사시켜 기쁘지만 이런 말씨름으로 머리가 복잡하다.

손주를 돌봐줄 겸 딸의 이민 생활을 돕기 위해 아칸소로 왔다가 뜻하지 않게 반신불수가 된 친정어머니가 하필 그 날 농장에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농산물을 쌓아둔 창고에 큰 불을 낸다. 예상치 못한 역경이 닥치자 불길 속에서 수확물을 창고 밖으로 꺼내는 일에 아내도 목숨을 걸며 혼신의 힘을 다한다. 남편은 그런 아내를 불길에서 꺼낸다. 결국 서로를 구해준 것은 돈이 아니라 역경이자 시련이었다. 아마 감독을 그걸 깨달으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 같다. 시련이야말로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진정한 삶의 버팀목이라는 설명은 없지만 그런 생각이 든다.

마지막 장면은 너무 조용하다. 그나마 알량하던 것들을 모두 잿더미로 만든 장모님이나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아들을 데리고 개울가로 간 애 아빠는 미나리밭을 바라보며 아들에게 미나리는 돌봐주지도 않아도 제가 알아서 잘 큰다며 말해준다. 남편은 미나리를 수확하며 아이 외할머니가 미나리밭 터를 잘 잡았다며 혼잣말을 한다.

성찰질문

1) 당신에게 미나리는 어떤 은유로 다가오나?

2) 당신의 어떤 모습을 보면 미나리 같다고 말 할 수 있나?

3) 주변에 미나리 같이 자기 스스로 잘 헤쳐나가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인가?

그 사람으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싶은가?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