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몇 없는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마저 그런 생각이 든다는 것이었다. 그저 방치하기엔 멀지 않은 미래에 곪아 터질 문제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강의를 듣고 나니 내가 가지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았다. 타인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내 마음부터 잘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자신과 친밀하게 지낼 줄 모르는 사람이 타인과 진정으로 연결될 수는 없는 노릇인데 그 사실을 간과하고 타인의 마음을 얻고자 대화했다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따로 없었다.

내가 나를 진정으로 대하는 마음이 타인에게까지 확장된다는 것. 과정을 건너뛰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모두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들이니, 일상에서 아주 조금의 노력만 더하면 긴 긴 시간을 단지 혼자서만 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

평소 말을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인간관계에 있어서 말하기와 발표 혹은 인터뷰에서의 말하기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난 후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말을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본 강의를 들으며 그 그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일방적인 소통이 아니라 양방향 소통을 위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 좋았던 수업입니다. 강사님께서 알기 쉬운 예시를 들며 설명해주셔서 이해도 잘되고 재밌었습니다.

**

마음을 여는 말하기는 결국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상대방을 지지해주고 응원해주고 부정적인 표현보단 긍정적인 표현을 쓰고 결국 그 모든 것이 배려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내가 누군가를 존중해주고 배려할 수 있도록 내가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내 마음을 자연스럽게 전하기 위해 누군가를 배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번 특강은 정말 내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수업소감 17

오정근 교수님의 글말 교실 강의를 듣고 자신있게 말하기에서 소개해주신 방법이 상기되어서 좋았습니다. 학기 마무리 부분에서 복습하는 느낌도 들고 다시 머릿속으로 들어오니까 정말 그렇구나라는 느낌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