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깨달았다. 내성적이어서 말을 별로 하지 않아도 고개를 끄덕이는 등 나름대로 대화에 참여만 해도 주변 사람들과 천천히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뜻깊은 말씀이었다. 나도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대학교에 들어와서 천천히 주변 사람들과 말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 사람들도 나에게 긍정적인 말들을 해준다. 별 건 아니지만, 그런 말들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한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는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있을 때 발표를 잘하는 스타일이다.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그랬으니까. 완전히 내성적이라곤 볼 수 없는 성격이다. 나도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고, 말하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이다. 발표할 때도 듣는 사람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하면서 발표를 진행한다. 떨리기도 하지만 재밌었다. 그런 것처럼 나도 주변 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긴장감도 풀리고 그 상황이 재밌어지는 것이다. 오늘 들은 강의 내용대로 대화를 시작할 때 이름이 뭔지, 관심있는 건 뭔지 등을 물어보며 기초적인 내용부터 말하면서 사람들에 대해 알아가다 보면 나도 언젠가는 나를 인정해주고, 많은 내용을 공유할 만한 사이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 믿는다.

이 수업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은 what-why-how 방법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과 대화를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질문과 대답이었습니다. what-why-how로 이야기를 하면 글의 짜임새와 내용이 풍부해지기 때문에 발표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 생겨나며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느껴 오해없이 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는 것이 어색한 저는 이야기 거리를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했는데 small talk 질문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주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듣는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감하는 방법, 설득하는 방법, 인정하는 방법 등을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특강 이후에 전공 수업인 캡스톤 다학제 디자인과 수소 및 신에너지 자동차 시간에 다른 사람들 앞에서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습니다. 위의 가르침을 통해 말하기에 자신감이 붙을 수 있었고 논문의 내용을 what-why-how방식으로 발표함으로써 논리적인 발표를 할 수 있었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