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오늘 들은 이 수업 또한 매우 행복하게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수업에서 배운 교훈들을 제 삶에 적용한다면 정말 좋은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생각의 전환은 제게 정말 많은 변화를 주었습니다. 단점을 장점으로 또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이 방법을 교수님께 배운 후 생활 속에서 정말 많이 적용해 보았고 그 결과 정말 긍정적인 일들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메타인지 또한 말하기를 하거나 글을 쓸 때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좋은 방법들을 이 수업에서 다시 한번 더 배울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해야 할 때 보통 어색하게 지나가는 시간이 많은데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질문법도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상대방과 더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이것이 또 다른 하나의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사람과의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강의에서는 그 관계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하면 더 유연하게 잘 나아갈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더 자신감 있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해 정말 잘 배울 수 있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한 후의 사회로 나갔을 때 저희가 많이 사용해야 할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가르쳐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저는 사실 사람들과 대화하고 발표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지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수업을 통해 그 방법을 더 자세히 알게 되고 이로써 제가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떠한 것을 설득할 때는 득이 되는 점과 실이 되는 점을 이야기하면 더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난 후 실제로 동생에게 학습 관련 설득할 때 사용해 보았는데 정말 효과적으로 동생이 이해하는 것을 보고 뿌듯하기도 하고 정말 보람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라는 교수님의 말씀을 잘 새기며 앞으로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득과 실의 방법뿐만 아니라 감정을 움직이는 말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 저희에게 해주신 말씀처럼 저도 나 자신을 먼저 사랑하고 이해하며 선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어 자신 있게 저의 생각을 말하고 또 많은 사람에게 위로와 감동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AI와 함께하는 미래의 글쓰기

안녕하세요. 오정근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우리 일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글쓰기에도 AI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희가 어떻게 AI와 함께 글을 쓸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