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학과에 재학하며 저의 생각을 남들에게 설득하고, 마음을 얻는 발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어떻게 하면 남들에게 말을 잘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특강의 제목을 보고 마음이 끌려 특강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수업의 초반부터 긍정적 사고에 대해 많이 강조해주셨는데, 실제로 살면서 긍정적 사고의 힘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공감하며 들었습니다. 제가 긍정적인 이야기를 할 때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많이 받았고, 저 역시도 부정적으로만 말하는 사람보다는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에게 더 마음이 갔습니다. 이 강의를 들으며 긍정적 인식에 대한 노력이 제 개인적 심리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 데에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내심 깨달았습니다.

또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신 부분이 유익하게 다가왔습니다. 저는 어떤 발표나 공적인 말하기 등이 아닌 사소한 일상 속에서도 소감을 잘 말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깊었습니다. 친구들이 준 편지나 선물에 대한 소감, 제가 추천해주고 싶은 작품에 대한 소감 등을 이야기 할 때, 제 이야기에 다들 커다란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특강에서 알려주신 What, Why, How는 그런 저에게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이 부분을 학습하며 깨달은 점은 제가 평소 소감을 말할 때 What 위주로만 줄줄 늘어놓고 말아버린다는 점이었습니다. 이번 특강을 계기로 좀 더 보완되고 설득력 있는 말하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할 수 있을 때까지 강의 내용을 자주 복습하며 둘러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0

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