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뭔가 특별한 얘기처럼 들릴 수도 있으나 어떻게 생각하면 당연한 얘기다. 나를 먼저 챙기고 사랑해야 그걸 남에게도 줄 수 있다. 교수님께서 앞서 보여주신 내용처럼 나의 단점을 단점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평가해 장점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흔하게 ‘좋게 말하면 ~~이지만, 안 좋게 말하면 ~~이야.’라고 말할 때가 있다. 이 말에서도 보여주듯 어떠한 문제도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고 그것은 객관적인 것이 아니며 언제든지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도 앞으로 내가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좋은 쪽으로 생각해서 자존감을 길러야겠다고 다짐했다.

두 번째로 모르는 상대와 이야기할 때 막막할 때 차근차근 이름부터 사는 곳까지 물어보면서 친해지면 된다는 점이 인상깊었다. 대학교에 처음 들어와서 아는 사람도 없고 비대면으로 동기들도 잘 못 만나서 약간의 두려움이 있었다. 더군다나 나는 낯을 가리는 성격이기 때문에 더욱 모르는 상대방에게 말을 걸고 대화하기가 어려웠는데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신 대로 그냥 차근차근 가벼운 것부터 물어본다면 자연스레 친밀감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과는 대형과이기 때문에 아직도 과 동기, 선배들을 다 알지 못하는데 앞으로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방법대로 상대와 이야기 하면서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마지막으로는 마음을 얻는 말하기의 핵심이라고 생각되는 감정표현 잘하기이다. 나는 감정표현을 잘 못하는 사람이다. 기쁘거나 슬픈 일이 있어도 감정표현을 잘 하지 않고 둔하게 반응한다. 나에 대한 일에도 이렇기 때문에 상대방에 관한 일이나 말을 들어도 별로 리액션이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호감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감정표현이 필요하다. 여기서 말하는 감정표현은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는 것이 아닌 상대의 말에 반응해주는. 즉, 리액션을 말한다. 인간은 자신의 말에 잘 대답해주고 반응해주는 사람에게 관심이 쏠리게 되어 있다. 처음보는 관계에서는 더군다나 상대를 잘 알지 못하기에 이런 리액션이 상대의 첫인상으로 남을 수 있다. 따라서 나는 이 강의를 통해 앞으로는 리액션을 잘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강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어떻게 호감을 나눌 수 있는 지 방법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나를 돌보는 방법을 알려주고 나를 칭찬해줘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해 정말 유익했다. 결론적으로 나를 더 보듬어야 상대도 보듬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나와 상대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를 마냥 인정해주는 코칭

개과천선(改過遷善)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시다시피 ‘잘못을 고쳐서 선해진다’는 뜻입니다. 제가 고전을 공부하다가 깜짝 놀랐던 것 가운데 하나가 이 부분입니다. 바로 개과천선이 아니라 천선개과(遷善改過)라고 나와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책 특징과 목차

커리어 코칭은 물론 삶의 철학과 태도까지 성찰하게 만드는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은 다음 5가지 주안점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1. 존재 중심의 코칭 자존감과 자신감을 높이고, 자기 이슈의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왜 어린소녀에게 감동하나?

나는 미스트롯 2를 보고 놀랐습니다. 김태연양의 소리에 놀랐고, 내 눈물샘이 흐르면서 느꼈고, 점수를 보면서 또다시 놀랐습니다. 이런 감정은 나만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마스터 심사위원들도 그랬고, 수많은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