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많이 있었다. 스몰토크의 주제에 대해 알 수 있었고 편하게 상대방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된 것 같다. 경청과 타인의 말에 대한 반응이 인간관계 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는 것에 크게 공감했다. 내가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유형의 사람과 대화할 때 마음이 편했고 상대방에게 호감을 갖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생각을 통해 나도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소감을 말할 때 what – why – how 의 방식을 이용하고 좋은 점을 먼저 말한 후 아쉬운 점을 말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친구와 대화를 하다 오해를 하게 되어 갈등을 갖게 된 경우가 있었는데 나의 어떠한 점 때문에 오해가 생기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내가 표현을 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오해를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알아차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라는 사실을 처음 깨닫게 되었다. 나는 설득하는 데 있어서는 항상 상대방을 설득시킬 논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감정을 기초로 두고 논리를 결합시켜야 설득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압박을 가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만 전하고 상대방이 생각에 대해 듣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 것이 좋은 설득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긍정적이고 호감이 가는 말이 인정, 지지, 격려, 칭찬, 응원, 축하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생각하는 긍정적인 말은 형식적이고 좁은 범위였는데 다양한 긍정적인 말을 알게 되어 좋았다. 특히, 칭찬과 이성이 결합된 말이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시너지가 굉장히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칭찬보다 이성이 합쳐진 칭찬을 했을 때 더욱 진실되었다는 생각이 들고 기분이 좋을 거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코치의 8가지 생각 챙기기

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