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많이 있었다. 스몰토크의 주제에 대해 알 수 있었고 편하게 상대방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된 것 같다. 경청과 타인의 말에 대한 반응이 인간관계 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는 것에 크게 공감했다. 내가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유형의 사람과 대화할 때 마음이 편했고 상대방에게 호감을 갖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생각을 통해 나도 타인과 대화할 때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소감을 말할 때 what – why – how 의 방식을 이용하고 좋은 점을 먼저 말한 후 아쉬운 점을 말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친구와 대화를 하다 오해를 하게 되어 갈등을 갖게 된 경우가 있었는데 나의 어떠한 점 때문에 오해가 생기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내가 표현을 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오해를 가지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알아차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았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라는 사실을 처음 깨닫게 되었다. 나는 설득하는 데 있어서는 항상 상대방을 설득시킬 논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감정을 기초로 두고 논리를 결합시켜야 설득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압박을 가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만 전하고 상대방이 생각에 대해 듣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사고하도록 돕는 것이 좋은 설득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긍정적이고 호감이 가는 말이 인정, 지지, 격려, 칭찬, 응원, 축하와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생각하는 긍정적인 말은 형식적이고 좁은 범위였는데 다양한 긍정적인 말을 알게 되어 좋았다. 특히, 칭찬과 이성이 결합된 말이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시너지가 굉장히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칭찬보다 이성이 합쳐진 칭찬을 했을 때 더욱 진실되었다는 생각이 들고 기분이 좋을 거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