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그런 얘기 해주셨지 하면서 리마인드도 했습니다. 교수님께 가장 먼저 배웠던 What-Why-How. 제 말하기를 정말 많이 바꿔놨습니다. 그 전까지 두서없이 횡성수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많은데 목에 턱 막혀 나오지 않았던 말들이 What Why How 라는 큰 틀을 생각하면서 말하면 깔끔히 정리되어 입 밖으로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말하기 방법이라 힘들었습니다. 나는 What Why How를 제대로 써서 말한 것 같은데 교수님이 이런이런 부분에서 잘 느껴지지 않았다라고 피드백을 해주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 피드백에서 저는 말하기는 말하는 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듣는 상대가 중요한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말하기는 상대방에게 내 뜻을 전하고 이해시키는 것인데, 그동안 너무 내 말만 번지르르하고 멋있게 포장하기만 급급했던 것입니다.

말하는 방법이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공감도 늘었습니다. 공감=기분듣기=마음 알아주기=마음 얻기 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수업 초반에 소회의실 활동이 있었습니다. 잘 모르는 학우 랜덤으로 4명이서 모여 주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었는데 분위기를 끌어올리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이 바로 공감이었습니다. 상대방이 무슨 이야기를 할 때 잘 경청했다가 그에 맞게 공감을 해주면 상대방은 내 얘기를 잘 들었구나 라고 생각하며 그 뒤 이야기를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공감을 할 때 효과가 배가 되는 것이 바로 몸짓과 말의 높낮이였습니다. 그냥 말로만 공감을 해주는 것보다는 놀란 표정을 지으면서 높은 목소리로 상황에 맞는 공감을 해주는 것이 훨씬 효과가 좋았고 상대방도 더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특강 중 설득의 대한 말하기가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 라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더욱 좋은 말하기가 되었을 텐데 아쉬웠습니다. 사람들은 이익 추구 심리와 손실 회피 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좋은 설득이 될 것 같습니다.

수업 때 마다 한 명씩 피드백 해주시고 진심으로 학생들을 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말하는 자신감도 얻어가고 교수님이 알려주신 가르침으로 사회생활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코칭

코치들은 대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뜻을 두고 코칭에 입문합니다. 코치로서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고할수록 자신의 역할이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는 것인지 의심이 적어집니다. 왜냐하면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