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 말을 잘 못하더라도 이번 특강에서 배운 내용들을 잘 알고 적용한다면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첫 번째로 말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잘 들어주기만 해도 좋다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내가 지금까지 부족했던 것이 듣는 태도였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동안 나는 대화를 할 때 말도 많이 안하면서 상대방의 말에 공감을 잘 못했던 것 같다. 앞으로는 들어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하는 말에 공감하며 들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더 나아가 마음의 문을 열고 먼저 다가간다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해야겠다.

두 번째로 공식적인 발표 자리에서 어떻게 말하는 것이 핵심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인지 배웠다. 주제를 먼저 알리고 배경, 중요성, 실천 방법 순서대로 알리는 것이 그 순서였다. 사실 이 과정은 이번에 들은 ‘자신있게 말하기’수업에서 많이 연습했던 내용이었다. 다른 수업에서 발표를 할 때도 이번에 배운 What-Why-How 순서를 잘 살려서 발표하니까 발표하는 입장에서도 정리가 잘 되었고 청중들도 이해가 쉽게 되는 것 같다.

세 번째로 상대를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논리도 중요하지만 감정에 호소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내용을 배웠다. 설득할 때는 아무도 반박할 수 없는 객관적인 근거와 논리가 100%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논리는 10%, 감정이 30%, 인품이 60% 작용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인상 깊다. 내가 설득을 당할 때 상대방이 호소하는 감정에 많이 움직였던 것을 생각하면 공감되는 말이다. 스스로 논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에 힘들었는데 감정을 섞어서 말하면 된다고 하니 조금은 안심이 되었다.

특강을 듣고 공감의 중요성, What-Why-How방식 그리고 설득할 때의 유의점에 대해서 배웠다. 배운 내용들을 잊지 않고 잘 새겨서 자신있는 말하기 생활을 실천하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