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 말을 잘 못하더라도 이번 특강에서 배운 내용들을 잘 알고 적용한다면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첫 번째로 말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잘 들어주기만 해도 좋다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내가 지금까지 부족했던 것이 듣는 태도였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동안 나는 대화를 할 때 말도 많이 안하면서 상대방의 말에 공감을 잘 못했던 것 같다. 앞으로는 들어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하는 말에 공감하며 들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더 나아가 마음의 문을 열고 먼저 다가간다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해야겠다.

두 번째로 공식적인 발표 자리에서 어떻게 말하는 것이 핵심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인지 배웠다. 주제를 먼저 알리고 배경, 중요성, 실천 방법 순서대로 알리는 것이 그 순서였다. 사실 이 과정은 이번에 들은 ‘자신있게 말하기’수업에서 많이 연습했던 내용이었다. 다른 수업에서 발표를 할 때도 이번에 배운 What-Why-How 순서를 잘 살려서 발표하니까 발표하는 입장에서도 정리가 잘 되었고 청중들도 이해가 쉽게 되는 것 같다.

세 번째로 상대를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논리도 중요하지만 감정에 호소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내용을 배웠다. 설득할 때는 아무도 반박할 수 없는 객관적인 근거와 논리가 100%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논리는 10%, 감정이 30%, 인품이 60% 작용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인상 깊다. 내가 설득을 당할 때 상대방이 호소하는 감정에 많이 움직였던 것을 생각하면 공감되는 말이다. 스스로 논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에 힘들었는데 감정을 섞어서 말하면 된다고 하니 조금은 안심이 되었다.

특강을 듣고 공감의 중요성, What-Why-How방식 그리고 설득할 때의 유의점에 대해서 배웠다. 배운 내용들을 잊지 않고 잘 새겨서 자신있는 말하기 생활을 실천하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