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모두 다 듣고 나니 이전 수업 내용 리뷰하는 느낌도 들어서 좋았습니다. 믿자명친! 이전에 수업들을 땐 뭐 저런걸 하나…. 저런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솔직히 의문이 들었습니다. 워낙 소극적이게 살아온 지라, 그런 것들이 허례허식처럼 느껴진 것은 염세적인 저의 마음가짐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수업이 끝나고 나서 한번 더 생각해 보니, 이런 생각을 속으로 외쳐보는 것만으로도 자신감이 솟아오른다! 는 아니지만, 그래 내가 그때 그런 것도 했었는데… 하면서 긴장감이 줄어드는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질문하기에서도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전까지는 질문이라는 것은 대답을 얻기 위해서, 라는 느낌이 있었는데, 질문을 대화를 이어나가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니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전에는 정말 궁금한 것들만 물어보았다면, 이젠 이 질문을 하면 이런 대답이 따라오고, 그러면 이렇게 대화를 이어나가면 되겠다는 전략을 세우면서, 내가 이미 알고 있거나, 혹은 그렇게 중요한 질문이 아니더라도 상대방에게 대답을 유도하는 질문을 할 수 있었고, 이전과는 다른 소위 ‘인싸’처럼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어서 기뻤습니다. 오정근 교수님. 어쩌다 보니 제 인생에 있어 큰 조각이 되어주신 분이라 학교 수업 말고 다른 곳에서도 한 번 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