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같이 식사를 하며 여러 대화도 나누고 있었습니다. 그중 무리에서 외향적이신 분께서 모두를 향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는데, 문뜩 제 주변을 둘러보니 아무도 그분의 이야기에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음식에 집중하거나, 다른 곳을 응시하며 이야기를 듣고 있었습니다. 이분들이 만약 이야기를 집중해서 듣고 있다고 하더라도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몸말을 이용하여 제가 그분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드렸습니다. 그분의 눈을 바라보고, 고개를 끄덕거리거나 눈이 마주치면 약간의 미소도 지어 보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이야기를 들려주시는 분이 점점 저를 바라보고 이야기를 말씀하시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저도 모르게 말수가 적어도 호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 특강 영상을 보기 전에는 제가 이 방법을 사용하는지조차 몰랐지만, 이러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르고 사용하는 것과 알고 사용하는 것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수가 적어도 호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저 정성스럽게 상대의 이야기를 경청할 수 있고, 그럼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기분 좋을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청하는 자세에는 공감하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저 역시 상대와 대화를 할 때 공감을 우선적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것을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설명하시는 것을 듣고 힌트를 얻았습니다. 제가 얻은 힌트는 상대방이 하는 말에 담긴 그 사람의 감정을 찾아냈다면 그 감정을 그래도 말해주는 것입니다.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말하는 이 쉬운 방법을 그동안 못 했다는 게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할 때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몸말 기법과 더욱 향상된 공감하는 능력을 이용해 말을 많이 하지 못하더라도 호감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느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감사일기를 쓰게된 계기는 무엇인가?

젊고 유능한 한건수코치가 인천공항공사 등 우리나라에 보급한 라는 세계적 캠페인 성격의 프로그램의 강사과정을 이수하면서, 자연스레 에 참여했고 효과적으로 습관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Complaint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

수업소감 41

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