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따른 말하기 등의 내용이 13주차에 걸친 수업에서 익숙하게 들어왔던 말씀과 동일하여 편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쉽게 말문을 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 초창기가 생각납니다. Zoom 소모임에서 처음 만나는 학우분과 어떤 얘기를 해야 할지, 누가 먼저 얘기를 시작할지에 대해 고민하며 어렵사리 말문을 틀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매 수업 마다 교수님께서 정해주시는 주제에 대해 얘기를 꺼내다보니 어느새 매번 새로이 바뀌는 소모임에서의 대화가 꽤나 익숙해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전달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해선, 수업 초창기엔 따로 말할 내용을 글로 써서 준비를 하지 않고 큰 주제만을 생각한 채로 전달하려다보니, 말하고픈 내용은 많은데 정리가 되지 않아 듣는 이로 하여금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했습니다. 이러한 부분도 수업을 거듭하며 제한된 시간 동안의 말하기를 연습하다보니 학기가 끝나가는 요즘에 들어선 꽤나 정돈된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해야 호감을 얻는 말하기를 할 수 있을까. 처음의 저는 비대면 대화를 고려하여 상대방이 저와 마주보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시선이 자꾸만 흔들려 보는 이가 편치 못한 발표를 했던 것 같습니다. 또한 조용한 환경이 아닌 학교 내의 공공장소와 같이 주변소음이 있는 장소에서 발표를 하다 보니 듣는 사람도 부드럽게 들을 수 없을뿐더러 저 또한 저의 목소리와 저의 발표를 듣는 다른 학우 분들의 현 상태를 점검하지 못하여 깔끔하지 못한, 저 스스로도 만족스럽지 않은 발표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수업을 거듭하며 카메라를 응시하며 말하는 연습을 하고, 집에서 발표를 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없어지고 온전히 듣는 이와 발표자만이 함께 하는 발표를 하게 됐습니다.

“원하는 일이 절실하고, 사람에게 진실하고, 자신에게 성실하면 자기 삶이 충실해집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고 저는 이를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통해 얻게 된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의 수업을 마무리 짓는 좋은 특강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

수업소감 5

다시 한 번 지난 수업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영상이기에 유익하였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인간은 사회적이기 때문이라는 말에 매우 공감하였고 내가 느끼기에도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수업소감 45

평소 인간 관계에 고민이 많았던 터라 말하기 수업에 흥미가 있었다. 특히 나는 남들에게 공감을 잘 해주지 못하거나 감정 표현에 미숙한 것 같다는 자각이 있어 늘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