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저도 그래야 하는데 아직 부족하고 연습이 더 필요합니다.

관찰은 보면서 살피는 것이고

성찰은 돌아보면서 살피는 것이요

통찰은 꿰뚫어보면서 살피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ICF에서는 2번째 역량 “2. 코칭마인트 셋을 구현한다”에서

마인드셋에 대한 정의 가운데 “호기심이 많으며”라는 표현과 함께

구현하는 핵심요소로 “성찰 훈련을 개발한다(Develop reflective practice) 고 했습니다.

살피기를 잘 해낸 사람의 모델이 있다면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요?

바로 순임금입니다.

순임금은 묻기를 즐겨했습니다. 호기심이 아주 많았나 봅니다.

또한 순임금은 살피기를 좋아했습니다.

<중용> 6장을 보면 공자님이 순임금이 엄청 지혜로운 분이라고 일컫습니다.

순임금이 잘 한 것을 3가지 꼽는데,

그 가운데 첫번째 키워드가 호문호찰입니다.

호문(好問-묻기를 좋아함) 호찰(好察-살피기를 좋아함)의 단어를 보고

코칭의 원리가 우리의 고전 속에 있었구나, 하며 반가웠었습니다.

순임금은 무얼 살폈을까요?

이언(邇言)이라 하여, 대수롭지 않은 말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코칭하다가

“지금 한숨을 쉬셨는데 지금 어떤 마음이 느껴지시나요?”

이렇게 말할 때가 바로 이언을 살피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들어보니까 ~”

“제가 보니까~”

와 같은 표현도 코치가 관찰한 바를 나누는 것이어서

코치가 살피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신호라 생각합니다.

잘 살피면 눈치코치가 있는 사람이겠죠?!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50

다른 이들에게 마음을 주거나 받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아끼는 마음이 필요하지만 그 외에 다른 기술 들도 필요하다. 우선 우리가 다른 이들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 이유는

수업소감 35

비교과 활동 6주차 강의 수강신청을 통해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강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수업소감 20

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수업소감 33

(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