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하는지 살피면 좋습니다. 한 마디로 말한다면 잘못 알고 있던 것을 바로 알도록 인식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코칭적 대화가 일상적 대화와 다른 점은 코치가 답을 주기보다 질문을 한다는 점입니다. 코치의 공감과 인정 등에 힘입어 코칭고객은 안정감을 찾고 에너지가 높아지는 단계를 거쳐 코치의 질문에 따라 의식이 확장되고, 내면의 답을 찾아 나가게 됩니다.

이 때 좋은 질문이 인식 전환에 도움을 주고 고객 스스로 좋은 답을 찾게 도와줍니다. 인식전환의 단서를 어떻게 찾아내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데, 바로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에 해당하는 ‘있다-안다-좋다’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여기서 실마리를 찾아 질문하면 보다 빠른 효과를 얻게 됩니다. 예컨대 없다는 말 혹은 안다는 말, 싫다는 말에 생각의 틈새가 보이기 때문입니다. 코칭 장면에서 코칭고객(커리어 코칭고객은 주로 학생)들이 흔히 보이는 인식을 전환했던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사례> 있다-안다-좋다 단서를 통한 인식전환 사례

코칭고객 : 저는 재능이나 강점도 없어요

코치 : 재능이 없다는 걸 알아낸 것은 자기성찰 지능이 높다는 증거인데 그건 재능 아닌가요? (‘없다’에서 ‘있다’로 인식전환)

코칭고객 : 저는 제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저에 대해 아는 것도 별로 없고요.

코치 : 지금 알고 있는 게 있네요. 딱히 싫어하는 게 없다는 것을 아는군요. 또 자신에 대해 모른다는 걸 알고 있네요. 그렇지 않나요? (‘모른다’에서 ‘안다’로 생각 전환)

코칭고객 : “나는 성격이 안 좋아요,

코치 : 그 말을 들으니 솔직한 사람 혹은 겸손한 사람처럼 보이는데 그렇지 않나요? (‘안다’고 잘못 생각한 것을 ‘잘못 알고 있었다’로 인식전환)

코칭고객 : 저는 결정 장애에요, 휴학을 할까 봐요, 나는 해도 잘 안 되네요…”

코치 : 지금 그렇게 자기가 결정장애라고 판단하고 결정한 것은 누구인가요? (‘안다’라고 생각한 것을 ‘잘못 알고 있다’로 인식전환)

코칭고객 : 저는 제 전공과목이나 이쪽 분야를 좋아하지 않아서 억지로 공부했어요. 제가 원했던 전공이 아니었거든요.

코치 : 억지라도 전공 공부를 계속했던 좋은 이유는 뭔가요?

코칭고객 : 딱히 대안이 없었거든요.

코치 : 계속 대안을 찾지 못한다면 대신에 무얼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이 전공을 계속 공부해서 졸업하고 취직해야겠네요.

코치 : 억지로하는 대신에 어떤 마음가짐으로 공부하면 좋을까요?(싫다에서 좋다로 집중하도록)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코치다운가? 이런 질문을 해보며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나는 코치라는 모자를 썼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입니다. 코칭을 하러 기업에 가면 사람들이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