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놀면 뭐하니>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이렇게 대답한다고 합니다.

“20대 때도 자기 맘대로 못살면 평생 자기 맘대로 살 수 있는 시간이 없다.”

다른 출연자도 “10대 때는 엄마 맘대로 산다”고 맞장구쳤습니다.

한편 유재석의 부캐인 카놀라 유는 “혼자 살아보라,는 얘기 해주고 싶다. 나도 부모님이랑 쭈욱 살다가 결혼하니까 혼자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아쉽다.” 고 합니다.

두 사람이 전해준 말에 저도 공감이 갑니다. 부모입장에서 자식을 따로 내보내 살게 한다는 것이 안쓰럽긴 하지만 독립적 생활은 결혼 전 필수라 생각이 듭니다. 혼자서 살지만 혼자 산다는 것의 의미도 더 잘 알게 되고, 신체적 독립이 정신적 독립과 경제적 독립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한편 또다른 초대 손님으로 김숙이 초대되었습니다. 방송인터뷰에서 “예전보다 개그우먼 활약이 커진 걸 보면 시대가 달라진 것 같은데 그 이유가 뭐라 생각하는기?” 라는 질문을 받고 김숙은 “시대가 바뀐 게 아니라 우리가 시대를 바꾼 것이다”고 대답했다는 말을 듣고 과연 갓숙다운 명언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성찰질문

1) 20대 청춘들이 진로에 고민이 많습니다. 만일 조언을 하신다면 어떤 말씀으로 에너지를 불어넣어줄 수 있을까요?

2) 만일 혼자산다면 어떤 득과 실이 예상됩니까? 혼자 살게 되는 경우 어떤 준비가 아직 덜 되어 있다고 봅니까?

3) 당신의 전성기는 언제입니끼?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치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인가요?

가치 있는 삶이란 나답게 사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나는 원래 좋을 수밖에 없는 나이고, 하늘과 같은 천성을 갖고 태어났으니 영성과 지성을 지속적으로 고양시켜 나가는 일이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