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동물원 주인의 아들이자 동물학자인 주인공을 통해 동물원 속의 동물은 동물원을 자신의 안식처로 받아들인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동물은 본능적으로 자기를 위협할지 모르는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 동물마다 안전거리를 갖고 있는 셈이다. 야생 홍학은 상대가 300m 이상의 거리를 두면 신경을 쓰지 않지만 그 이상 다가오면 긴장하고 덮치기도 한다. 기린은 자동차에 탄 사람을 30m까지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걸어서 다가설 때는 150m까지 허용한다.

동물마다 거리를 재는 방식도 다르다. 고양이류는 보고, 사슴류는 듣고, 곰류는 냄새 맡으며 거리를 잰다. 그러니 동물들이 낯선 사람 앞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동물원 운영의 기술이자 과학이라고 한다. 동물들은 훈련을 통해 사람과 친밀감이 커지면서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진다. 사람들도 처음에는 거리감을 느끼다가 사귈수록 심리적 거리가 사라지는 것과 유사하다. 거꾸로 물리적 거리를 둔다는 것은 아직 친밀감이 덜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캐나다에 만난 중년부인이 이야기다. 며느리가 될 서양아가씨가 집으로 인사차 찾아왔기에 반가운 마음에 가까이 다가섰더니 뒤로 한 걸음 살짝 물러서더란다. 친밀감을 표시하려고 다시 천천히 다가서니 어느새 또 그만큼 거리가 생겼다며 그 부인은 서양인이 공간에 대한 확보심리가 강하단 인상을 받았다고 웃으며 말했다.

낯선 사람과의 만남은 의례 부담스럽기 마련이다. 개인적 신상을 털어놓는 심리상담이나 코칭에서야 더 이상 말할 바가 있으랴. 거리감을 줄이는 것은 하나의 기술이다. 동물원의 동물이 사람들과 거리감을 느끼지 않도록 훈련 받듯, 상담사나 코치는 고객(클라이언트)이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이른바 라포형성을 위한 훈련을 받는다. 고객이 마음의 빗장을 열지 않으면 상담이나 코칭은 아예 이뤄지지 않는다. 사람 사이의 거리감은 다가선다고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에게 공감과 인정을 해줘야 사라진다. 이걸 알면서도 첫 말문열기는 늘 긴장이다. 오늘은 무슨 말로 거리감을 줄일까?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5

다시 한 번 지난 수업들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영상이기에 유익하였다.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인간은 사회적이기 때문이라는 말에 매우 공감하였고 내가 느끼기에도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