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책 속으로

■ 책 속으로

가끔 주변에서 인생의 전성기가 ‘지금’ 아니냐고 묻는다. 나는 그렇다고 인정한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었고, 모든 것이 우연이었다. ‘사람은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정말 누구를 만나느냐가 중요하다. 나한테는 나 자신을 브랜딩하거나 마케팅하는 재능이 없다. 하지만 주변의 여러 사람이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거나 연결해 주었다. 감사한 일이다.

나는 ‘코칭’을 통해 새로운 삶을 얻고, 나다움을 의식했다. 특별히 커리어 코칭 분야에 큰 힘을 쏟았기 때문에 이제는 이 경험을 나눌 때라고 생각한다. 기본이 될 만한 커리어 코칭 콘텐츠를 총망라했다. 커리어 코칭에 입문하는 모든 분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시작하며 _사람은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

사람을 보는 관점에 대한 기본 전제

① 사람들은 선한 의도를 갖는다.

② 사람들은 세상에 선한 영향을 미치고 싶어 한다.

③ 사람들은 자신의 상태가 더 나아지기를 원한다.

④ 사람들은 자기가 인식하는 바에 따라 행동하며 살아간다.

⑤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잘 지내면서 인정받기를 원한다.

⑥ 사람들은 늘 자기에게 좋은 것을 택하며 살아간다.

⑦ 사람들은 감정으로 판단한다.

⑧ 사람들은 욕구불만이 있을 때 스트레스 행동을 한다. 그것은 누구나 그렇고, 자연스러운 일이며 바꿀 수 있다.

(전제 _사람은 선한 존재다)

“난 누구? 여긴 어디? 갈 곳은 어디?”라고 자신에게 묻는다면 뭐라 대답할까? 쉽지 않지만 자기 삶의 주인이라면 스스로 답할 줄 알아야 한다. 살아가면서 답이 변한다고 해도 문제될 것은 없다. 삶의 방향을 바로 잡기 위한 핵심 질문은 ‘Who-Where-How’이다. 이 질문은 3가지 관점을 다룬다. 코칭은 ‘과거’에는 관심이 적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에 주목한다.

첫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Who are you?

둘째, 어디를 향해 가고 싶은가? Where are you going to?

셋째, 어떻게 거기에 가면 좋을까? How will you get there?

(PART1 커리어 코칭의 이해)

자기의 역경 극복 스토리를 염두에 두고, 일단 자신에게 질문하자.

① 어떤 맥락(Context)의 이야기인가?

② 어떤 액션(Action)이 있었나? 그래서 어떻게 했나?

③ 결과(Result)는 어떠했나?

④ 어떤 맥락(Context), 즉 누구(Subject)의 이야기인가? 간절히 원했던 것(Treasure)은 무엇인가? 방해하는 역경이나 장애(Obstacle) 요인은 무엇인가?

①②③의 머리글자를 따면 순서대로 CAR가 되고, ④의 맥락 하부 요소 머리글자를 따면 STO가 된다. 그래서 스토리텔링 공식을 ‘CAR STOry’로 기억하면 좋겠다.

(PARTⅡ 자기탐색)

직업이란 ‘직(職)’과 ‘업(業)의 합성어다. ‘업’이 ‘직’보다 더 큰 개념이니 ‘업’부터 설명하고자 한다. 소크라테스는 “세상의 모든 직업은 누군가를 위해 존재한다.”라고 했다. 의사가 의술을 베풀면 환자가 혜택을 받고, 그 대가로 의사는 보수 획득을 하며, 제화공이 구두를 만들면 구두 사는 사람이 혜택을 받고 그 대가로 제화공은 보수 획득을 한다고 소크라테스가 명쾌히 말해주었다. 이렇듯 모든 직업은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 위한 일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PARTⅢ 직업탐색과 비전)

코칭 대화의 특징은 사람을 살리는 데 있다. 말에 생명력을 넣는 것이다. 즉 코치가 하는 말이 참가자를 살아나가게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코치의 말은 힘이 되어야 한다. 참가자에게 에너지를 북돋아주는 말로 인식되는 것이 중요하다. 코칭 대화를 하면 참가자의 마음이 열리고 정신이 깨어나고 의식이 더 확장된다. 자기다운 답을 찾아내는 ‘생각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다.

(PARTⅣ 코칭 대화 스킬과 대화 모델)

산다는 것은 선택의 연속이다. 우리 삶의 굵직한 선택들은 학력, 경력 즉 커리어로 남는다. 때문에 커리어 설계는 삶의 필수다. 선택 결과는 통제 불가능하여도 선택의 과정은 통제 가능하다. 커리어 선택의 기로에 설 때 도움을 받을 누군가를 만난다면 우리는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 그 누군가 중에 커리어 코치가 있다. 코치는 질문을 통해 참가자를 돌아보게 하고, 들여다보게 하며, 내다보게 한다. 코칭이 좋다고 입을 모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코치를 만난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삶을 값지게 만드는 일이다.

(PARTⅤ 커리어 코칭 사례연구)

내가 살면서 가장 꾸준히 잘하는 것은 ‘감사일기’ 쓰기다. 10년 넘게 이어오고 있다. 누가 시키지도 않는 일이다. 감사일기를 오래도록 써 온 이유는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라는 것을 수없이 체험했기 때문이다. 감사를 떠올리는 것이 습관화되었고, 될 수 있으면 ‘덕분’이라는 말을 자주 쓰려고 한다. 그건 사실이다. 감사를 하면 할수록 감사의 좋은 기운이, 좋은 운을 만든다는 믿음이 생긴다.

(마치며 _감사는 감사를 부른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수업소감 14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모두 다 듣고 나니 이전 수업 내용 리뷰하는 느낌도 들어서 좋았습니다. 믿자명친! 이전에 수업들을 땐 뭐 저런걸 하나…. 저런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코치로서 가치와 소명은 무엇?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치다운 코치로서 앎이 소중하기에 배움을 귀하게 여깁니다. 저도 그렇지만 누구나 더 잘 알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앎을 사랑’하기에 ‘배워서 남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