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책에 대하여

출판사 대표님이 정해준 제목이라 저는 좀 어색하고 낯뜨겁기도 합니다. 책 제목에 이름을 걸고 나니, 더 조심스러워집니다. 코치들의 봉사모임인 해피포럼의 김건중고문님의 “너의 이름을 아름답게 하여라”하는 감명깊은 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이름이 브랜드가 되려면 그만큼 독특하고 책임지는 내용이어야 할텐데 독자분들이 어떻게 받아들이실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출판사 대표님도 코칭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인데 제게 시리즈로 책을 준비해달라고 합니다. 이번 책 출간과 관련하여 저는 주변에 복을 나눠주는 사람이 많구나 싶어 감사가 밀려옵니다.

해마다 코치로 진입하는 분들이 대략 1천명이 넘는데 그 중 커리어에 관심을 갖는 신입 코치님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고, 자신감이 커지면 더더욱 좋겠습니다. 하여 책에는 제가 커리어코칭이 실제 어떻게 전개되는지 사례를 많이 가미했습니다. 존재중심의 코칭을 전개하려고 할 때 큰 도움이 되도록 구성에도 신경을 썼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알아차림과 직관을 활용하는 코칭

우리가 앎을 챙기는 방식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 직관입니다. 코칭을 할 때 특히 자신의 직관을 믿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관은 추리적 사고 과정을 뛰어 넘습니다.

존재-인식-행동을 다루는 코칭

문제가 생기면 외부환경이나 남 탓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 비하 혹은 자책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그런 상황에서 하나라도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