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준비 과 정과 가시적 결과물을 통해 원하는 바를 얻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계별로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는지 인지하는 게 좋다.

코칭 세션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 자. 먼저, 코칭할 내용을 사전과제 형식으로 참가자에게 주는 방 법이다. 그리고 코치가 결과물 양식을 미리 준비해서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칭 산출물들은 결국 스토리텔링과 자기표현과 연결된다. 즉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자 기표현을 잘못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탐색과정에서 자기 이야기를 충분히 할 기회를 제공한다. 모든 단계마다 결과물을 말 로 표현하게 하고, 잘 정리해 두도록 요청한다. 그것이 바로 그림 2의 커리어 코칭 Stage 3 실행 촉진 단계와 바로 연결이 된다.

코칭 과정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결국 스토리텔링이다. 이슈도 스토리요, 풀어가는 과정에서 “그 순간 어떤 기분이었나요? 그래서 어떻게 반응했나요?”와 같은 질문도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세션과 세션 사이에서 어떤 시도를 했는지, 반응은 어쨌는지를 스토리텔링으로 묻고 답한다.

그 다음 세 션을 시작하면 또 스토리텔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참가자가 변 화와 성취를 이룬 스토리를 말하지 않는다면, 코치 역시 성취를 얻기 어렵다. 코칭 과정에서는 이렇게 끊임없이 스토리를 나누 게 되므로, 나는 참가자에게 스토리텔링 공식을 알려준다. 스토리에 빠진 부분이 있으면 공식에 따라 질문하며 채우기도 한다. Chapter 3 ‛스토리텔링의 공식’을 참조하자.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7

상대방에게 호의적인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대면으로 바뀌며 새로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어색했던 경험이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수업소감 16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