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평소에 말을 할 때 신중하고도 깊게 생각한 후에 말을 하려는 습관을 기르려고 한다. 평소에 이런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 제목이 이 강의를 집중에서 들을 수 있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특히 순서의 문제가 인상 깊었고 말을 하다보면 마찰이 생겨 서로에게 상처주기 마련인데 예의, 매너, 존중이 필요하다는 강의 내용을 듣고 그런 태도를 지니겠다고 다짐했다.

그리고 나는 말수가 적고 내향적이라 처음 보는 사람은 물론 몇 번 보고 말을 하고 안면을 튼 사이인데도 불구하고 말을 할 때 어색해하는 경향이 있어 걱정이 많았는데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자신감을 지니고 말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말을 조리있게 하지 못하는 편이라 핵심 내용 전달과 소감, 감상을 말할 때 어려움을 겪었던 나로서는 교수님이 강의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안녕하세요 오정근 교수님, 이번 글말교실 중 가장 마음에 와 닿는 강의였습니다.

평소 낯선 사람들과 대화하는 게 힘들었는데 그중 대화주제를 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절실, 진실, 성실에 기본을 두고 상대의 표정을 살피며 흥미있어 하는 주제를 찾고 그 주제로 대화를 이어가보는 것을 실천해보겠습니다.

심리적 안정을 주는 사람이 되어 새로운 사람들과도 감정적 교류를 할 수 있길 바라며 감상문 마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인식-행동을 다루는 코칭

문제가 생기면 외부환경이나 남 탓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 비하 혹은 자책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그런 상황에서 하나라도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내가 답이다, 내 안에 답있다

많은 학문이 추구하는 바는 밖에서 구해 안을 채우려 하는데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을 결핍한 존재 혹은 결핍한 세상에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쟁을 가르칩니다.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