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 왜냐하면 여태까지 나는 나의 부족한 점을 약점으로만 바라봤지, 그를 열린 마음으로 보고 약점을 강점이라고 생각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글말교실 글말특강 6회차인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통하여, 말하기를 통해 상대에게 마음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상대 또한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먼저 열린 마음으로 바라보고,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 평소에 나는 나의 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편에 속하는데, 상대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하기 위해서는 내가 상대에게 먼저 마음을 줘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실천해야겠다고 다짐을 하게 되었다. 또 말하는 방식뿐 아니라 상대방이 말할 때의 리액션, 즉 공감 등을 통한 반응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

성인이 되고 첫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 감정소비가 심할 것은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상처도 많이 받게 되고 그 상처로 인해 하루의 기분이 결정될 만큼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감정과 마음에 대한 생각과 고뇌가 많았습니다. 마침 이 수업을 계기로 어떤 방향과 마음가짐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이 좋은지 알게 된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열띈 수업으로 더 집중해서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