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몇 없는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마저 그런 생각이 든다는 것이었다. 그저 방치하기엔 멀지 않은 미래에 곪아 터질 문제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강의를 듣고 나니 내가 가지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았다. 타인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내 마음부터 잘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자신과 친밀하게 지낼 줄 모르는 사람이 타인과 진정으로 연결될 수는 없는 노릇인데 그 사실을 간과하고 타인의 마음을 얻고자 대화했다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따로 없었다.

내가 나를 진정으로 대하는 마음이 타인에게까지 확장된다는 것. 과정을 건너뛰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모두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들이니, 일상에서 아주 조금의 노력만 더하면 긴 긴 시간을 단지 혼자서만 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

평소 말을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인간관계에 있어서 말하기와 발표 혹은 인터뷰에서의 말하기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난 후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말을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본 강의를 들으며 그 그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일방적인 소통이 아니라 양방향 소통을 위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 좋았던 수업입니다. 강사님께서 알기 쉬운 예시를 들며 설명해주셔서 이해도 잘되고 재밌었습니다.

**

마음을 여는 말하기는 결국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상대방을 지지해주고 응원해주고 부정적인 표현보단 긍정적인 표현을 쓰고 결국 그 모든 것이 배려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내가 누군가를 존중해주고 배려할 수 있도록 내가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내 마음을 자연스럽게 전하기 위해 누군가를 배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번 특강은 정말 내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