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한 강의였다. 평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민이 많은 상태였기에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상대방과의 대화 방법에 대한 내용들이 너무 좋았는데 그 중 첫째는 공감과 들어주기였다. 내가 생각해온 대화란 그저 말을 주고받는 행위였는데 대화에 있어서 상대방의 말을 들어주는 행위까지도 대화의 일부분이고 그 사람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행동이라는 말이 많이 와닿았다.

두 번째는 감정표현이다. 사실 나는 감정표현에 서툴다. 내 감정을 표현하다 보면 상대방이 나의 감정에 신경 쓰는 게 부담스럽고 나 자신을 초라하게 만드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생각해보면 대화에 있어서 말하는 사람들의 감정 또한 대화의 필수요소이고 나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서로 배려하는 것 또한 진정한 대화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내가 말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강의의 내용 중에 상대방의 표정을 보면 내가 말을 잘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는 부분이 있었다. 머리를 한 대 쎄게 맞은 기분이었다. 너무 공감이 됐기 때문이다. 나 스스로도 나에게 흥미로운 주제나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는 웃고 있지만 자신만 알고 있거나 자신이 하고 싶은 얘기만 하는 사람과의 대화에서는 무미건조한 표정을 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혼잣말이 아닌 상대방과 교류를 하는 대화는 어렵다. 나에겐 고칠 부분이 많고 아직 배울 내용도 많지만 오늘 강의를 통해 내 말하기 기술은 분명 많은 부분이 발전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언제 온 마음을 담아 행동했나요?

​ 학생들 이름을 외워 불러줄 때가 생각납니다. 강의실에 일찍 온 학생들에게는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3개 클라스 90명 이름을 1주만에 외워 불러 줄 때도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코치의 8가지 생각 챙기기

코칭도 생각과 앎을 다루는 비중이 크므로 공자의 9가지 생각(思)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코칭에 접목하기에 용이하게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로 재정리하여 도해화하였습니다. [생각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