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차릴 수 있게 되었다. 이 강의에서 우선적으로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지금 약속은 미래의 나와의 약속이다” 라고 말했던 이야기이다. 이 말은 자신은 자신이 믿어야 한다는 내용인데, 나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나는 무언가를 도전하기 전에 극도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겪곤 한다. 나를 못 믿으며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몰라 불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야기에서 누구보다 나 자신을 아는 건 나이며 나를 믿어야 한다는 내용이 나에게 조금이라도 용기를 주었기 때문에 가장 인상이 깊지 않았나 싶다.

더불어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법을 여러가지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항상 배려와 예의를 갖춰야 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킬 수 있었고, 첫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선 호감이 가는 멘트로 첫인상을 좋게 만들어야 하며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해야 좋은 말하기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좋은 예시들을 보며 배울 수 있었고 예를 들어 어디로 여행을 갈거냐, 진로가 무엇이냐 라던지 좋은 시작 멘트를 익혔다. 또한 나의 경험이 가장 녹아 있는 상황에 사용하기 좋은 말하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는데 그 방법은 말할 때 자신의 말 표현을 보고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듣자 라는 내용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 항상 날이 서 있는 말투로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말을 꺼냈고, 때문에 싸움이 일어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상대방이 충고나 조언을 하더라도 좋지 않게 들려 비꼬면서 말하기 일수였다. 이러한 경험들이 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면서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상대의 말에 공감해주는 건 정말 크나큰 힘이 되며, 나 또한 그 힘을 느꼈다. 누군가와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땐 소소한 주제로 얘기를 하더라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생기면 매우 쉽게 친해지고 돈독해지는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시 한번 명심을 하게 됐다.

다 듣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고 여유를 찾고 주변 친구들과도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 소소한 행복을 느끼고 싶다. 유익한 강좌를 통해 얻은 것을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며 다른 글말 강좌를 또 신청하려는 의지도 생겼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알아차림과 직관을 활용하는 코칭

우리가 앎을 챙기는 방식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 직관입니다. 코칭을 할 때 특히 자신의 직관을 믿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관은 추리적 사고 과정을 뛰어 넘습니다.

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